5년간 7만 2533명 늘어
‘작은 정부’를 지향한 이명박 정부에서도 공무원 수는 계속 늘어나 1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50명 중 1명이 공무원인 셈이다.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가와 지방 공무원 수(현원)는 98만 7754명으로, 5년 만에 7만 2533명(7.9%)이 늘었다.
2005년 말 91만 5221명이었던 전체 공무원 수는 2006년 94만 397명, 2007년 96만 3132명, 2008년 96만 8836명, 2009년 97만 8087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최근 정부와 한나라당이 향후 2~3년간 복지 및 소방공무원 수를 수천명 늘리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어 공무원 규모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 방안이 확정될 경우 내년에 공무원 100만명 시대가 열릴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의 경우 공무원은 전년 대비 9667명(1.0%)이 늘었다. 이 가운데 행정부 국가공무원은 62만 2737명, 지방공무원은 27만 9636명으로 각각 7247명과 1333명이 많아졌다. 특정직인 교사는 35만 6223명으로 5180명(1.4%) 늘었고, 기능직의 일반직 전환 방침 등에 따라 일반직은 2715명 증가한 11만 565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행안부 관계자는 “지난달 발표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공공부문 인력 규모가 총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7%로, OECD 평균(15%)의 3분의1이며 조사대상 36개국 중 최하위 수준”이라면서 “꼭 필요한 부분에만 인력을 보강하며 정원 관리를 엄격히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황수정기자 sjh@seoul.co.kr
2011-07-0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