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객 몰려 경제 살린다” vs “농업피해·조류독감”
철원평야로 날아드는 독수리떼는 지역경제를 살리는 보물인가, 농사를 망치는 애물단지인가.겨울 철새의 낙원인 강원의 철원평야로 날아오는 독수리떼는 철새탐조객을 불러들이면서 지역경제에 적잖은 도움을 주지만 일부 양계장과 농민들에게는 바이러스를 옮기는 귀찮은 존재로 민원의 온상이 되고 있다.
●철새 탐조객 하루 160명 찾아
철원군은 12일 허허벌판 철원평야에 해마다 겨울이면 11월부터 3월까지 두루미와 재두루미, 쇠기러기, 독수리떼가 수천 마리씩 날아들어 철새탐조객이 하루 평균 150~160명씩 찾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탐조객들로 철새들이 모이는 동송읍 양지리와 갈말읍 문혜리 일대의 식당과 숙박업소들은 한겨울 짭짤한 수입을 올리고 있다.
철새들이 많이 찾는 지역은 동송읍 양지리 토교저수지 일대로 이곳에는 주로 쇠기러기와 두루미, 재두루미떼가 겨울이면 3000~4000마리씩 찾아 월동하며 장관을 이루고 있다. 육가공업체가 있는 갈말읍 문혜4리 일대에는 3년 전부터 몽골지역에서 날아온 천연기념물 제243호인 독수리가 300~500마리씩 떼를 지어 찾고 있다. 독수리떼를 보기 위해 탐조 관광객과 사진작가 등이 수십여명씩 문혜리를 찾아 이 지역이 새로운 탐조지역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곳에 독수리들이 몰리는 것은 인근 육가공업체에서 나온 유지방이나 도살된 소에서 나온 부산물과 한우전문 식당에서 꾸준히 먹이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겨울 철새가 철새탐조객 등 겨울철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효과가 있지만 영농시설물을 못쓰게 만들고 조류바이러스 감염이 우려된다.”고 걱정하고 있다. 문혜리 인근에서 양계장을 하는 주민들은 “청정지역인 철원지역에 언제 조류 독감 소식이 들려올까 독수리떼를 볼 때마다 조마조마하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일부 주민들은 “독수리떼가 풀 자람을 방지하는 보온용 모포를 헤집고 다니는가 하면 반듯하게 닦아 놓은 논둑마저 마구잡이로 망가뜨리고 있어 먹이를 주는 식당 등에 먹이를 주지 말라고 항의해도 소용이 없다.”며 민원을 제기하기도 했다.
철원군 철의삼각 전적지 관광사업소 관계자는 “독수리는 현재 전 세계에 2만여 마리밖에 없는 희귀 철새로 이 중 2000여 마리가 한반도를 찾는 만큼 보호해야 한다.”면서 “주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행정기관이나 철새보호단체, 주민들이 머리를 맞대고 좋은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철원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