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문순 강원도지사 |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낙후된 동해안권 발전을 위해 크루즈 관광 산업이란 새로운 카드를 꺼내 들었다. 크루즈 관광 산업은 천혜의 절경을 자랑하는 설악권이 낙후된 관광지로 전락하고 금강산 관광길도 끊긴 데다 어족 자원마저 고갈되면서 주민들이 겪는 고통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마련됐다.
최 지사는 “크루즈 관광 산업은 뱃길을 따라 세계 관광지 곳곳을 다니는 관광산업이다. 대형 선박 안에 음식점과 이발소, 세탁소 등 모든 시설이 갖춰져 있다.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는 모항도 도전해 볼 가치가 충분하다”면서 “속초항을 크루즈 관광 산업의 모항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미 크루즈 선박 회사인 하모니크루즈를 속초항으로 유치하기 위해 강원도가 고향인 선박회사 사주를 만나 설득 작업에 들어가는 등 활발한 접촉을 벌이고 있다.
최 지사는 “속초항이 모항으로 지정되면 기득권을 유지하면서 동해 북부권의 경제 활성화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본다”면서 “바다로 진출하는 교두보 확보는 물론 북극항로와 맞물려 환동해권과 유럽, 북미권으로 진출하는 관문 역할까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속초항이 크루즈 관광 항구로 자리 잡으면 정부에서 건설을 약속하고도 지지부진한 서울~춘천~속초를 잇는 고속철도망도 반드시 필요한 기간 철도망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더구나 개항 10년이 넘도록 국제공항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애물단지 취급을 받는 양양국제공항도 러시아, 중국, 일본, 북극항로를 통한 유럽 관광객들까지 이용하는 국제공항으로서 활로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 지사는 “대형 여객선을 타고 세계를 여행하는 크루즈 산업은 미국과 유럽에서만 지난 한 해 2000만명이 이용했으며 25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된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베이징올림픽과 상하이 세계박람회 등을 계기로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 크루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동북아 크루즈 관광시장은 2015년 120만명, 국내 방문 크루즈 관광객은 62만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속초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