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1번지 주춧돌 10년 만에 놓았다”
2003년 서울시는 길음 뉴타운 시범 사업 계획을 발표하며 장밋빛 전망을 쏟아냈다. ‘자립형 사립고가 생기고 사설 학원단지가 조성돼 교육 1번지로 탈바꿈한다.보행자 중심 대형 가로공원, 커뮤니티센터, 보건센터가 들어서며 강남에서 부러워하는 동네가 된다….’ 10년이 흘렀지만 제대로 지켜진 게 드물다. 그나마 얼마 전 해결된 게 8구역 학교 부지다. 계성여고 이전이 확정된 것이다.
윤정자 성북구의회 의원은 20일 “주민들이 너무 오래 기다렸다. 길음 지역은 축제 분위기”라고 전했다. 윤 의원은 계성여고 이전을 위해 무던히도 애를 썼다.
중학교도 없었다. 아이들은 미아리고개 너머까지 걸어 다니기 일쑤였다. 지난해에야 길음초등학교 자리를 빌려 중학교가 문을 열었다. 초등학교는 운동장에 새로 지어졌다. 계성여고 이전 과정도 험난했다.
시는 404억원에 사들인 땅을 감정한 뒤 571억원은 받아야겠다고 했다. 학교 부지를 일반 토지로 평가했기 때문이다. 계성여고는 방향을 틀어 강남구 세곡동 이전을 검토했다. 이전 무산 소문이 돌았다.
유승희 국회의원을 비롯해 김문수 시의원, 윤 의원 등이 뛰기 시작했다. 토론회도 열었다. 3000명에게 서명을 받아 박원순 서울시장을 찾아갔고, 지역 현실을 설명하며 설득했다. 결국 매매 가격이 420억원대로 낮아졌다. 윤 의원은 길음동성당 등의 도움이 컸다며 “2016년 학교가 문을 열면 길음 뉴타운 지역이 더욱 활성화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 고개를 넘으니 또 다른 고개가 기다리고 있다. 윤 의원은 9구역 공터 해결에 눈을 돌린 상태다. 원래 시가 거점도서관을 세운다며 사들인 곳이다. 하지만 사업 예산을 확보하지 못해 현재 주차장으로 쓰인다.
윤 의원은 계획대로 거점 도서관 건립을 추진하거나 청소년들을 위해 미디어센터 같은 공공시설을 세워 달라는 청원운동을 시작했다.
“공공 인프라가 들어서기로 했던 땅이 곳곳에 흉물처럼 남아 있어 마음 아파요. 5구역 빈터도 문제예요. 커뮤니티센터 건립을 위해 구에서 매입한 곳이죠. 바로 옆에 학교가 들어오는 만큼 그에 걸맞은 시설이 빨리 들어서야 합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