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기초보장제는 박원순 시장의 대표 공약인 ‘서울시민복지기준 마련’의 세부 사업 중 하나로 최저생계비 이하의 생활을 하면서도 법정 요건이 맞지 않아 국민기초생활보장 지원을 못 받는 빈곤층을 시가 직접 지원하는 제도다.
국민기초생활보장제가 최저생계비 이하의 소득인정액으로 지원 대상을 선정한다면 서울형 기초보장제는 최저생계비 60% 이하의 소득평가액으로 판별한다.
대상자로 지정되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절반 수준으로 생계비를 지원받는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1일을 기준으로 그간 7만2천308명(4만6천55가구)을 상담해 1만6천870명(1만701가구)이 지원을 신청했으며 그 중 7천56명(4천580가구)이 서울형 기초보장, 국민기초생활보장, 기타 복지지원을 받았다.
서울형 기초보장제 신청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신청과 함께 접수한다. 우선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선정을 판단하고 다음으로 서울형 기초보장제 적용 대상 여부를 따지며 마지막으로 타 복지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식이다.
서울형 기초보장제로 지원받은 시민은 총 2천217명(1천522가구)이며 모두 4억4천만원이 지급됐다.
한편, 국민기초생활보장으로 지원받은 시민은 3천208명(2천93가구)이었으며, 1천631명(965가구)은 한부모가정·차상위계층 급여 등 지원을 받았다고 시는 설명했다.
강재신 서울시 생활보장팀장은 “시행 초인데도 서울형 기초보장뿐만 아니라 국민기초생활보장과 타 복지급여까지 지원받는 빈곤층이 많이 발굴되고 있다”며 “재정이 어렵지만 조사 중인 6천956명(4천488가구)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