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세코스로 비서실·청와대 꼽아
승진에 민감한 공무원들은 보통 출세 코스로 비서실과 청와대 근무를 꼽는다. 두 근무처 모두 폭넓은 시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다는 점에서 엘리트 공무원 양성로로 통한다.강 장관은 취임 일성으로 “강 전 총리가 공직생활의 멘토”라고 밝혔다. 총리가 고뇌 끝에 결단을 내리는 모습을 곁에서 지켜보면서 많은 것을 배웠다는 것이다. 특히 강 전 총리가 “책임지는 자리에서 1년 정도가 지나면 직언이나 부정적 의견이 귀에 거슬릴 때가 있는데 그때는 물러나야 할 시점”이라고 한 말을 항상 가슴에 새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안행부의 비서실은 안행부 공무원이 아니라 정치인 출신 장관들이 데려온 사람들로 채워졌다. 그 가운데 일부는 ‘3차관’이라 불릴 정도로 장관의 의사 결정에 영향력을 발휘했다. 그래서 안행부 내부 직원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 안행부의 전신인 내무부 출신인 강 장관은 안행부 직원들로 비서실을 꾸렸다. 특히 수행비서는 김용준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의 비서로 일하며 능력을 인정받은 사무관이다.
강 장관은 비서로 많이 일한 만큼 비서의 애환에 대한 이해도 높다. 당시 비서로 같이 일했던 사람들끼리 ‘전국가방모치(もち)연합회’(전가협)란 이름으로 지금도 모일 정도다. 전가협에는 공무원뿐 아니라 기업 회장의 비서로 일하다 지금은 최고경영자(CEO)가 된 사람도 있다.
비서는 끼니를 제대로 챙겨 먹기도 힘들고, 항상 모시는 분의 수족이 되어 움직여야 하는 만큼 업무 강도가 높다. 장관이 술에 취하면 업고 집까지 가는 것도 비서의 몫. 이 때문에 일부 장관들은 1년 정도 만에 비서를 교체해 그동안의 수고에 대한 보상 차원으로 원하는 부서에 발령을 내거나 유학을 보내주기도 한다. 문화부처럼 여성 공무원의 비율이 높은 부처는 남성 장관의 비서로 일할 남성 공무원이 없어 구인난을 겪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신세대 공무원들 중 출세 코스로 여겨지는 비서나 청와대 근무를 꺼리는 경우도 있다. 새벽 및 주말 출근과 야근이 이어지는 청와대 근무에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없다며 전보 인사를 신청하기도 한다. 성격이 강하거나 완벽주의를 요구하는 장관의 비서는 지원자가 없어 애를 먹기도 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4-04-10 2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