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별로는 을지연습을 담당하는 비상대비훈련과(80.0%)와 중앙안전상황실( 75.0%), 승강기안전과가(70.0%) 등의 재난·안전 분야의 경험자 비중이 높았다.
반면 국민안전종합대책을 수립하는 안전정책과는 42.1%, 생활안전과는 45.5%, 재난총괄과는 46.2%에 각각 그쳐 경력자가 절반에도 못 미쳤다.
특히 안전관리본부 산하 중앙안전상황실과 안전정책국은 관련 근무 경험이 없는 실·국장과 국·과장이 각각 업무를 지휘하고 있다고 백 의원은 전했다.
안행부 전체로는 5급 이상 일반직 1천81명 중 333명(30.8%)만이 재난·안전 분야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백 의원은 “전문성이 없는 안행부에 재난 분야 업무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다”면서 “안전·재난 관련 공무원은 중앙과 지방정부를 막론하고 그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워가도록 하는 등 재난관리업무를 전담할 조직과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