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제주대와 증식 사업 본격화
‘임금님 진상품이었던 제주 흑우를 누구나 맛볼 수 있을까?’제주도가 제주대와 손잡고 천연기념물 제546호로 제주섬의 토종 자원인 흑우의 개체 수 늘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에 따라 앞으로 제주 흑우 대량 증식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현재 제주에서 사육 중인 흑우는 89농가의 1597마리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혈통이 확인된 순수 제주 흑우는 36농가 604마리 정도로 개체 수가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털빛이 검고 육질이 뛰어난 흑우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임금에게 진상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만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농가들이 사육을 기피함에 따라 1980년대 들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또 제주 흑우는 개체의 특성상 초기 성장이 느려 그동안 사육 농가에 큰 소득원이 되지 못했다. 제주 흑우는 현재 혈통 보존을 위해 다른 지방으로의 반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이 제주 흑우 고기의 지방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올레인산, 리놀산,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일반 한우보다 많고 포화지방산은 낮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 흑우는 지난해 10월 ‘맛의 방주’에도 등재됐다. 맛의 방주는 이탈리아 브라에 본부를 두고 150여 개국 10만여명의 회원과 1300개 지부를 두고 활동하는 국제비영리기구 ‘슬로푸드 국제본부’의 프로젝트로,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각 지역의 토종 음식과 종자를 찾아 관심과 소비를 이끌어내며 사라져 가는 종 보호, 종 다양성 유지를 위한 사업을 전개하는 기구다. 맛의 방주는 슬로푸드 국제본부가 20여일간 공개 검증 과정을 거쳐 맛의 방주 목록에 공식 등재하게 돼 있다.
조덕준 도 축정과장은 “지난해 제주 흑우 14마리의 수정란을 이식한 결과 7마리가 임신하는 등 50% 성공률을 기록해 대량 증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 증식 사업을 통해 개체 수가 크게 늘어나면 흑우의 뛰어난 고기 맛을 손쉽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