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흡연율은 42.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2번째로 높으며, 특히 30~40대 성인 남성 절반가량이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걷기 등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은 줄고 당뇨병과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증가했다.
|
조사 결과 30대 흡연율은 54.5%, 40대는 48.0%로 2명 중 1명이 흡연자였으며, 전체 성인 남성 흡연율(42.1%)은 1년 전인 2012년(43.7%)과 비교해 1.6% 포인트 정도 떨어졌으나 감소 폭이 미미했다.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6.2%로 2008년 이후 6~7%대를 유지했다.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흡연율이 높은 현상도 여전해 고소득층(소득 상위 25%) 흡연율은 36.6%, 저소득층(하위 25%)은 47.5%로 10.9% 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게다가 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일수록 하루에 소주 7잔 이상(여자 5잔)을 마시는 고위험 음주자가 많았고, 이들은 지방도 과잉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담배 20개비 이상을 피우는 남성의 고위험 음주율은 37.2%, 20개비 미만은 26.8%, 평생 비흡연자는 10.9%였다. 비만 유병률은 담배 20개비 이상을 피우는 사람이 42.5%로 가장 높았고, 운동 부족률도 51.4%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흡연과 고위험 음주, 기름진 안주 섭취, 운동 부족’ 등의 악순환이 계속되면서 국민 건강 수준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간접흡연도 심각해 2012년부터 공중이용시설 전체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됐는데도 공공장소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답한 비흡연자가 55.5%에 달했다. 직장에서 다른 사람이 피우는 담배 연기에 노출된 비흡연자도 47.3%로 절반에 가까웠다. 이처럼 비흡연자·흡연자 모두 나쁜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65세 이상 노인 75%는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이나 장애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4-09-1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