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 지역단체, 고독사 예방 위해 요구르트 배달…문 앞 그대로 있는 병 본 이웃, 쓰러진 노인 구해
“어, 요구르트병이 그대로네.”
|
단칸방에는 성격이 까칠하기로 이름난 이모(81) 할아버지가 살고 있다. 스스로 오지랖이 넓다고 생각하면서도 4통 통장을 맡은 그는 떨리는 손으로 문을 두드렸다. 그러나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
걱정이 더 커진 양씨는 이웃사람과 함께 창문으로 집을 들여다봤다. 이씨는 부엌에 쓰러져 있었다. 양씨의 가슴은 ‘쿵’ 하고 내려앉았다. 양씨는 경찰과 앰블런스를 부른 뒤 문을 열고 집으로 들어갔다. 간단한 응급처치로 이 노인은 일단 의식을 찾았다. 하지만 병원에는 가지 않겠다고 한사코 손을 내저었다. 다른 사람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겠다는 것이다. 경찰도 119도 어쩔 수 없다는 표정이었다.
양씨가 다시 나섰다. 한참 설득한 끝에 이 노인는 “하영이 엄마와 함께라면 가겠다”고 말했다. 밤 11시를 넘겨 앰블런스를 타고 보라매병원에 도착했다. 뇌경색이었다. 의사는 “조금만 늦었다면 큰일 치를 뻔했다”고 밝혔다. 양씨는 자정을 지나서야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이 노인은 병원에서 일주일간 치료를 받았고 양씨는 다섯 번이나 병실을 찾았다. 주변 사람들은 양씨가 이 노인의 딸인 줄 알았다고 귀띔한다. 주변의 칭찬에 양씨는 “오지랖이 넓어 그렇다”며 호탕하게 웃기만 한다.
금천구 독거노인 1370명의 집에는 일주일에 두 차례 요구르트가 배달된다. 1개 150원 짜리다. 지난해 금천구에서 고독사가 발생하자 “다시는 이런 일이 없게 하자”고 시작한 복지정책이다. 올해 2월 호암노인복지관 후원을 받아 사업을 시작했다. 어려운 복지관 형편 때문에 5월부터 사업이 중단되자 독산2동 11개 지역단체는 “그냥 놔둘 수 없다”며 한 달에 2만원씩 걷어 독거노인의 집에 배달하고 있다.
양씨는 “이 노인의 목숨을 구한 것은 요구르트”라고 짧게 말하며 공을 미뤘다. 구 관계자는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이웃을 살피는 사람이 있어야 효과를 발휘한다”며 양씨를 치켜세웠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4-09-19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