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공모절차를 거쳐 다음 달 대상학교를 선정하고, 내년부터 혁신학교 10개교와 예비 혁신학교 10교 등 총 20개 학교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김 교육감은 “혁신학교에 지원하는 학교는 예산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사업을 추진하고 교사들의 승진 등 가산점을 부여하지 않는 조건으로 사업을 추진했다”며 “학교의 자발적인 지원과 교사들의 소명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목표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개수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시 교육청은 내년부터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무상급식을 추진해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50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부산시에 50억원 지원을 요청했다. 또 학생·학부모 선택권을 강화하기 위해 0교시 수업을 전면 금지하고 보충수업과 야간자율학습에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참가하도록 했다.
이와 관련해 김 교육감은 “일부 사립학교에서 변형된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0교시 수업형태를 운영하는 학교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의 등·하교 시간 결정은 학교장 권한 사항으로 교육청이 강제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덧붙였다.
시 교육청은 또 교사들이 본연의 업무인 수업과 학생 지도에 전념할 수 있도록 행정업무를 대폭 축소 또는 폐지했다.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선 새로운 정책을 만드는 것보다 불필요한 것을 없애는 게 바람직하다는 판단에 따라 전체 교육정책사업 중 40%에 달하는 373건을 폐지하거나 축소했다.
김 교육감은 “교육은 유유히 흐르는 강물과 같다”며 “당장 눈에 보이는 성과가 없더라도 바른 교육을 위한 길이라면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개혁의 길을 걷겠다”고 말했다.
특히 개혁성향의 진보교육감 취임 이후 교육현장에 큰 변화가 없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의식한 듯 교육여건 조성이 중요하고 중단없는 개혁을 추진한다는 원칙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 교육감은 부산교육의 비전인 ‘모두에게 희망을 주는 부산교육’과 ‘꿈을 키우는 신나는 교육’, ‘감성을 가꾸는 행복한 교육’, ‘함께 만드는 행복한 교육’을 3대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부산 오성택 기자 fivesta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