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엔 인턴 등 달랑 3명뿐
결혼 3년차인 주부 장모(30)씨는 지난 8월 말 황당한 일을 겪었다. 장씨는 “젖병을 삶다가 아기 눈 주위를 데어서 급히 정부에서 운영하는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응급실을 찾았지만 ‘화상전문병원으로 가보라’고 할 뿐 치료를 받지 못했다”며 아직도 분을 삭이지 못하고 있다.이 의학원은 정부가 267억원을 출연했으며 매년 100억원이 넘는 예산을 지원받는다. 그런 대형 공공기관이 응급실을 찾는 환자를 전문의가 없다며 다른 병원으로 보내고 있다. 실제로 이 병원은 응급의료기관으로 지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응급실에 실장인 의사 한 명에 임상 실습하는 인턴 2명 등 3명만 근무한다. 일반 병원 응급실은 전문의만 5명 이상 있다. 무늬만 응급실이다. 최세영 응급실장은 “현재의 인력으론 감기 환자를 제외한 심장질환이나 장염과 같은 급성환자 등을 진료할 수 없다”며 “119구급대에도 공문을 보냈고 환자들에게도 양해를 구하고 다른 병원을 안내한다”고 털어놨다.
이 때문에 기장 지역 응급환자들은 눈앞의 대형병원을 놔두고 30㎞ 이상 떨어진 해운대백병원이나 양산부산대병원 등으로 가야 한다.
이에 대해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 연구와 암 진료에 특화된 병원으로 응급실을 운영할 예산이 부족하고 변두리에 있는 지역특성상 의료진 확충에 애를 먹는다”며 “내년에는 기장군과 부산시 등 관련 지자체로부터 지원을 받아 의료진도 확충하고 응급실도 확대 운영하겠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응급실 부실 운영이 병원의 방만 경영에 따른 결과라고 주장한다. 기장군 정관신도시에 사는 강모(50)씨는 “정부 지원만 믿고 안이하게 병원을 경영하는 공공기관의 전형적인 슈퍼 갑질”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해 이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총 4327명이며, 올해는 지난달까지 4063명으로 하루 평균 10~15명에 그쳤다. 이에 따라 개원 이후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지만 정부 지원을 받기 때문에 운영엔 문제가 없다.
제형건 해운대백병원 홍보팀장은 “암 진료 전문병원이란 특성이 있지만 환자에 대한 서비스가 병원 경영과 직결되는 민간병원에서는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런 문제점을 알면서도 규정이 없다며 손을 놓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는 “미래부 홈페이지의 신문고에 응급실 이용 불만 민원이 많이 접수되지만 병원 운영에 간여할 수 없어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김기천 부산시 식의약품안전과장도 “의학원이 응급의료기관이 아니라서 강제할 규정이 없다”고 밝혔다.
부산 오성택 기자 fivestar@seoul.co.kr
2014-10-1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