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나갔던 기업들 유턴 가시화
현지의 값싼 노동력과 원자재 등을 활용해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자 해외로 나갔던 기업들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에 따라 다시 국내로 들어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이들 기업이 다시 국내로 돌아온 것은 중국 현지 진출의 장점이 FTA 타결로 인해 많이 사라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 현지의 한 기업인은 “중국 근로자 임금이 최근 들어 매우 높아졌고 중국 정부에서 해외 기업에 대한 혜택을 많이 줄여 중국에 진출할 때보다 생산성이 매우 낮아진 상태”라고 말했다. 중국 현지에서 싸게 수급하던 원자재를 FTA 체결로 인해 한국에서도 저렴한 가격에 수입, 생산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도 생겼다. 또 미국, 유럽으로 수출할 때 한국에 있어야만 한·미 FTA, 한·유럽연합(EU) FTA의 관세 혜택을 이용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됐다. 고부가가치 제품을 만들기 위한 디자인 등 고급 인력을 구하는데도 국내 시장이 더 낫다고 해외 진출 기업들은 보고 있다.
기업체 상당수는 까다로운 중국 정부의 사업 청산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에 중국에서 완전히 공장을 철수하지 못한 상태다. 이 때문에 유턴 기업으로 알려져 자칫 현지 공장이 불이익을 받을까 우려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지 공장 철수부터 국내에서 정상 궤도에 오르기까지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시간도 상당히 걸린다”며 “유턴 기업에 청산 컨설팅자금을 지원하고 애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를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산업부는 지난 9월 서울 서초구 코트라에서 유턴 기업이 들어설 지방자치단체와 기업 간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진행하고 유턴하는 기업들이 애로 사항 등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만들었다. 산업부는 조만간 유턴 기업 가운데 매출 성과를 낸 기업들에 대한 성공사례집을 만들어 국내 유턴을 더욱 권장한다는 계획이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4-11-26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