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방치된 집 무료로 정비
대구 도심 빈집이 부활하고 있다. 대구 구·군들이 빈집 정비에 나섰기 때문이다.빈집은 오랜 기간 살지 않아 개·보수하는 데 돈이 많이 들어 집주인이 이를 미루거나 부모로부터 집을 물려받았지만 사는 곳이 따로 있어 내버려둔 경우가 많다. 매매도 잘 이뤄지지 않아 장기간 방치되기 일쑤다. 이로 인해 마당에는 잡초가 무성하고, 각종 오물이 뒤범벅이다.
관련 자치단체들은 무료로 집을 고쳐주는 대신 무상 임대하는 방식으로 정비하고 있다. 또 빈집을 허문 뒤 주민편의 시설이나 공동 텃밭으로 사용하고 있다.
동구와 남구는 ‘희망보금자리사업’의 하나로 빈집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구에서 빈집을 리모델링한 뒤 저소득 가정에 3년 동안 무상 임대해 주는 것이다. 대부분 해비탯(무주택 서민의 주거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한 민간운동단체) 등 지역 봉사단체와 민간 기부 등을 활용해 큰 예산도 들어가지 않는다. 동구와 남구는 지난해와 올해 각각 8동의 빈집을 정비해 자녀가 많은 여성 가장 등에게 무상으로 임대해 줬다. 빈집에 입주한 가구에는 사는 동안 각종 보수도 무료로 해준다.
중구의 경우 대봉2동 빈집을 허물고 공터에 생활체육기구를 설치했다. 수성구는 범어4동 빈집을 허문 땅에 주민 공동 텃밭을 조성했다.
대구 8개 구·군이 정비한 빈집은 지난해 35동, 올해 30동이다. 내년에는 60동의 빈집을 정비해 저소득층 보금자리나 주민 편의시설로 활용할 예정이다. 여기에 모두 8억여원의 예산이 반영돼 있다.
시 관계자는 “빈집 정비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주민들의 품으로 되돌려 주겠다”고 밝혔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4-12-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