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추석 앞두고 해결가이드 배포… 위층은 가족 모임 미리 양해 구해야
“층간소음 우퍼 공격 + α팁입니다.”(A포털 사이트 층간소음 피해자 카페)
|
서울시는 연휴 기간 층간소음 갈등 예방을 위해 ‘층간소음 해결가이드’ 6만부를 배포했다고 21일 밝혔다. 시가 배포하는 해결가이드에 따르면 위층은 가족행사나 친척모임 등에 대해 미리 양해를 구하고, 집에 매트나 카펫을 깔아 층간소음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 방문자들은 방문이나 현관문도 조심해서 닫아야 한다. 차상곤 주거문화개선연구소장은 “문자메시지나 포스트잇으로 손님 방문 시간 등을 사전에 아래층에 알려주면 배려받는다는 생각이 들어 보통 더 관대해진다”고 말했다.
해결 가이드라는 ‘공식 처방’ 외에 안면을 활용한 ‘민간요법’도 있다. 초등학생 자녀를 키우는 직장인 강모(39)씨는 “아이와 함께 인사를 하고 케이크나 과일 등 선물을 건너면 아랫집도 부드러워지고, 아이들도 층간소음 문제를 인식하게 된다”고 전했다. 두 살 먹은 남자아이를 키우는 김모(37)씨는 “아랫집에서 아이가 낮에 뛰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수험생이 있으니 세탁기나 청소기 등을 밤 9시 이후 돌리지 말아 달라고 요청해 그 부분은 잘 지키고 있다”면서 “이해와 타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층간소음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파트 건설 단계에서 막는 것이다. A 건설사 관계자는 “2013년 설 명절 층간소음이 원인이 된 살인사건 이후 완충재 등의 활용이 늘고 있지만 쉽게 잡히지 않고 있다”면서 “2004년 기준이 만들어지기 전에 지은 아파트는 소음이 더 심한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차 소장은 “작은 물건이 떨어져 생기는 경량소음은 완충재 설치 등으로 잡을 수 있지만, 사람의 발걸음 등이 원인인 중량소음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