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축제 잇단 유료화 논란
|
지난 5일 진주남강유등축제를 찾은 한 할머니가 1만원의 입장료 탓에 함께 온 할머니의 등을 밟고 가림막으로 가려진 남강 안쪽을 간신히 쳐다보고 있다. 류재수 진주시의원 제공 |
논란이 된 진주남강유등축제에 올해 처음으로 입장료를 받았다. 어른은 1만원, 학생과 군인, 장애인 등은 5000원을 받는다. 입장료를 받기 위해 남강 일대에 가림막을 설치했다. 진주시는 유료화를 통해 유등 축제 재정을 100% 자립화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유료화를 알지 못하고 온 외지 관광객 등은 “가림막으로 국가하천을 막고 입장료를 받는 것은 지나친 처사”라는 비판했다.
올해 6회째를 맞는 ‘제주올레 걷기 축제’는 1회부터 유료로 해 성공한 축제로 꼽힌다. 다만 유료뿐 아니라 무료행사도 함께 진행한다. 유료 참가는 미리 신청을 받아 1인당 2만원의 참가비를 내면 스카프와 물병 등 제주 올레축제 기념품을 준다. 해마다 유료 참가자는 증가했는데 올해는 15000여명, 무료 참가자는 2000여명이다. 사단법인 제주올레 안은주 사무국장은 “올레길이라는 개방된 공간에서 유료화는 무모한 측면도 있었지만 도시에서는 즐길 수 없는 축제 콘텐츠 등이 어필되면서 유료 참가자가 해마다 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올레 걷기 축제는 제주올레를 하루 한 코스씩 걸으며 제주 자연을 무대로 펼쳐지는 문화 예술 공연을 감상하고 올레길 지역 주민들이 준비한 먹거리도 즐길 수 있다.
서울 종로구가 관리하는 시립 ‘박노수 박물관’은 무료에서 유료로 전환해 입장료를 2000원을 받는다. 일주일 관람객이 1700여명인데 마루가 꺼지는 등 관리에 비용이 너무 많이 들었던 탓이다. 김영종 종로구청장은 “3000원으로 할까 했는데 유료화를 반대하는 의견 등을 반영해 2000원으로 낮췄다”고 했다. 김 구청장은 “유료화할 때 가격 결정에 신중해야 관람객 등 유동인구를 유지할 수 있다”면서 “문화 소외계층에 대한 다양한 배려가 필요하고, 지역주민에 대한 할인혜택 등 다양한 서비스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부산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5-10-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