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등 삶의 질 만족도 최고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와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등이 조사해 지난달 발표한 주민 삶의 질 만족도 조사에서 상위에 랭크됐다. 전체 만족도에서 10점 만점 중 7.46점을 얻어 230개 기초단체 중 6위를 차지했다. 수성구 이외 30위권 안에 든 대구·경북 지자체는 한 곳도 없었다. 특히 수성구는 교육분야가 강하다. 전체 시·군·구 중 만족도 1, 2위를 오르내리고 있다. 주택분야에서 5위, 문화분야 8위, 교통분야 9위로 조사됐다.
조사에서 나타나듯이 수성구에 있는 경신고와 대륜고, 오성고 등 명문고들이 대구 교육을 견인하고 있다. 대구 8개 구·군 전체 사교육시장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교육열이 높다. 구청과 교육청은 해다마 수성구로의 위장전입을 가려내기 위해 합동단속반을 가동할 정도다. 교육도시의 명성에 걸맞게 수성구는 도서관 사업을 구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10개의 크고 작은 도서관이 들어서 있다. 특히 2013년 개관한 범어도서관은 단순한 도서관에 그치지 않는다. 평생학습관·창의적체험활동지원센터·수성문화재단을 한 곳에 모은 교육·문화복합단지다.
또 청소년 상담복지센터도 들어서 있다. 평생학습관은 권역별 문화센터와 동·마을 단위 평생교육을 총괄하는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창의적체험활동지원센터에서는 학교간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평생교육과 연계를 활성화하고 학교의 문화분야 지원도 하고 있다. 청소년 상담복지센터는 위기 청소년, 학교 부적 학생 등을 돕기 위해 상담, 보호, 교육자립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서관 2층에는 글로벌 인재육성을 위한 글로벌 존이 마련돼 지식정보자료를 제공하고 다양한 프로그랭을 운용해 교육 국제화 거점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