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실무원, 교사 바쁘면 투입…일부는 학부모에 ‘부담임’ 소개
보육 질 하락·업무 외 노동 부담15명 중 10명 “교육 한 적 있다”
대전 서구 한 공립유치원의 업무실무원인 30대 김모씨는 최근 아침에 교사로부터 “일이 있어 늦으니 아이들을 대신 돌봐달라”는 문자를 받았다. 자주 있는 일이라 놀라지 않았다. 김씨가 교실에 들어가자 아이들이 “선생님은 왜 안 와요”라고 물었다. 학부모들이 알면 화낼 게 뻔해 “선생님은 급한 회의가 있다”고 둘러댔다. 김씨는 교사 대신 아이들을 데리고 자유선택놀이를 했다.
대전시교육청(교육감 설동호)이 유아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선발한 업무실무원을 교육에 투입해 오히려 질을 떨어뜨리는 행태를 일삼고 있다. 교사가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게 공립유치원의 사무 등 교육 외 업무를 뒷받침하려고 비정규직으로 업무실무원을 따로 뽑았으나 현장에서 교사로 내몰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업무실무원 39명이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한다. 대전에는 병설 88곳과 단설 8곳 등 모두 96곳의 공립유치원이 있다. 만 3~5세 자녀들을 교육시킨다. 업무실무원은 2000년 대전교육청이 전국 처음 채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서울, 부산 등이 뒤따라 도입했으나 부작용이 생기자 모두 교무보조 등으로 한정했다. 대전만 그대로 유지하면서 임용시험에 합격한 정규직 교사 대신 비정규직 직원이 수업에 투입되는 일이 잦아 부실 교육이란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양진석 시교육청 공무직원관리담당사무관은 “업무실무원을 방과후전담사로 전환하려다 교사들이 반대해 무산됐다”고 털어놨다. 장영순 장학사는 “실무원은 교육을 보조할 뿐이지 직접 가르치지 않는다. 이대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6-05-1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