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복지’ 지역 최종 선정
올 17개 시도 591개 지역 추가작년 3월 이후 933곳서 시행
|
보건복지부와 행정자치부는 31일 200개 시·군·구 605개 읍·면·동의 신청을 받아 이 가운데 591개 읍·면·동을 올해 맞춤형 복지팀 설치 지역으로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591개 읍·면·동에는 경기(118곳), 서울(86곳), 대구(55곳), 강원(32곳), 전남(25곳) 등 17개 시도가 모두 포함됐다.
591개 읍·면·동 가운데 458곳에는 해당 지역의 복지 업무만 담당하는 ‘기본형’ 맞춤형 복지팀이 설치된다. 나머지 133개 읍·면·동에 들어설 ‘권역형’ 맞춤형 복지팀은 주변 291개 읍·면·동의 복지 서비스까지 담당한다.
33개 읍·면·동을 비롯해 지난 3월 복지허브화를 먼저 시작한 선도 지역까지 포함하면 전체 읍·면·동의 26.6%에 해당하는 933개 지역의 주민이 복지허브 서비스를 받게 될 전망이다.
복지허브화는 기존의 주민센터를 통합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정복지센터로 바꿔 주민이 ‘내게 맞는 복지 서비스’를 상담받을 수 있게 한 사업이다. 맞춤형 복지 전담팀은 직접 어려운 주민을 찾아 도움을 주고, 장애인·노인 등 거동이 어려운 사람을 대상으로 방문 상담도 한다.
복지허브화를 먼저 시작한 지자체에선 조금씩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 3월에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한 마을 이장이 자녀 3명을 양육하며 어렵게 살아가는 지적장애인 가정을 발굴해 장애인 등록을 돕고 민간 복지서비스를 연계해 자녀의 정신건강 상담, 거주공간 수리 등의 서비스를 지원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6-0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