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킨지 보고서 내용 정리 수준”
경영 합리화 명분 ‘이윤 극대화’市, 예산 7억 배정 또 의뢰 예정
서울 구의역 김모군 사망사고를 계기로 서울시 자치단체의 고비용 컨설팅이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행정조직인 서울시를 대상으로 민간기업 컨설팅을 적용한 획기적인 실험으로 평가받았지만, 예산 낭비였다는 비판들이 쏟아졌다. 지방 공기업의 특성인 ‘공공성’을 외면한 탓이다.
서울시는 2013년부터 1년간 30억원을 들여 다국적 컨설팅사인 매킨지에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등 6개 산하기관에 대한 자문을 맡겼다. 경영 효율화를 위해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 통합뿐 아니라 1인 승무원, 역사 부동산개발 등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대부분 탁상공론에 그쳤다. 새로운 경영컨설팅의 내용도 없었다.
2014년 매킨지는 컨설팅에서 ‘2020년까지 매킨지가 권고한 경영혁신 방법으로 2조 3000억원의 수익을 낳을 수 있다’ 했으나, 현재 재정 효과 달성률은 69% 수준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매킨지의 컨설팅 결과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는 없고 대부분 알고 있던 내용을 정리한 것”이라면서 “공공성이나 서울시의 특수성을 배제한 채 이윤을 추구하는 일반 기업이라는 시각에서 컨설팅했기 때문에 실행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또 매킨지가 강하게 주문했던 서울메트로 경영 합리화가 결국 ‘김군 사망사고’를 불렀다는 시각도 있다.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위험을 외주화한 내부적인 관행이 가장 큰 문제이지만 매킨지의 경영 합리화라는 명분으로 이윤을 극대화하고 비수익조직을 외주화하는 등으로 조직을 축소하다가 이런 비극이 벌어진 측면도 없지 않다”면서 “개혁은 외부의 힘이 아니라 내부에서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지적했다.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16-06-0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