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소통 성과 백서 펴내
‘답은 현장에 있다.’누구나 아는 진리지만 실천은 퍽 어렵다. 민생을 챙기는 지방정부 단체장들도 현장에서 주민을 만나 의견을 들어야 난제를 풀 수 있음을 알지만 번거로운 일인 까닭에 주민과 꾸준히 소통해 나가는 이는 많지 않다. 하지만 서울 중랑구는 다르다.
나진구 구청장이 취임한 2014년 이후 한 달에 한 번 주제를 정하고 주민을 만나 경청하는 ‘나·찾·소’(나진구 구청장이 찾아가는 소통현장)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지방정부의 대표적 ‘소통행정’ 정책인 ‘나·찾·소’의 2년여간 성과를 엮은 백서가 나왔다.
구는 나 구청장과 주민 간 소통 프로그램인 나찾소의 운영 과정과 해결 사례 등을 모은 백서 ‘나·찾·소 2년, 중랑의 행복을 담다’를 펴냈다고 28일 밝혔다. 나찾소는 2014년 10월 지역 학교 현장에서 진행한 1회를 시작으로 지금껏 26회 운영했다. 현재까지 이 행사에 참여한 주민만 3000여명이다. 구청장이 직접 나서 주민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주다 보니 큰 효과가 있었다. 중랑구에 접수된 고충 민원과 집단·반복 민원 수가 52.5%나 줄었다.
백서에는 나찾소의 태동과 운영 방식, 성과 등이 빠짐없이 담겼다. 특히 민원해결 사례를 통해 주민과 어떻게 소통해 왔는지 보여준다. 주요 사례로는 ▲‘컬처노믹스’(문화를 경제적으로 활용하는 것) 혁신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도시브랜드 가치를 높인 ‘서울장미축제’ 사례 ▲전국 최초로 민자고속도로 사업에 따른 소음 발생 가능성을 잘 따져 저감시설을 추가 설치하도록 한 ‘구리~포천 간 고속도로의 방음시설 설치민원 해결’ 사례 등이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7-03-2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