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4월 5일. 이 날은 신라가 당나라를 한반도에서 몰아내고, 삼국통일을 완수한 677년 2월 25일(양력 4월 5일)이다. 또 조선 성종이 동대문 밖 선농단에 나가 몸소 제를 지내고 직접 농사를 짓는 모범을 보인 날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정부는 1949년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을 제정해 이 날을 식목일로 지정했다.
그러나 식목일은 공휴일로서 부침을 거듭했다. 1960년 공휴일에서 폐지됐고 3월 15일을 ‘사방의 날’(재해를 줄이려고 산림녹화 또는 각종 토목공사하는 날)로 대체 지정됐다. 그다음해 식목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면서 사방의 날 대신 식목일이 공휴일로 재지정됐다. 1982년 5월 15일에는 법정기념일로 제정됐지만, 2006년부터 주 5일제 시행으로 다시 공휴일에서 폐지됐다.
사진은 1955년 4월 5일 열렸던 식목일 행사에서 나무를 심는 모습이다. 당시는 공휴일이었지만 공식 행사였는지 참석자들이 양복을 입고 나무를 심고 있다.
국가기록원 제공
2018-04-09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