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황대호(더불어민주당·수원4) 의원. 경기도의회 제공 |
황 의원은 열악한 조직과 예산으로 운영하고 있는 경기도 체육부서의 실상을 지적하면서 적극적인 체육정책 마련을 위해 근본적인 조직과 인력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20일 황 의원실에 따르면 황 의원은 지난 11일 경기도 체육과 담당자와의 면담에서 “도내 체육시설 및 관련 종사자들이 집단 감염위험이 높은 다중 밀접시설에 대한 운영 중단 권고에 따라 자발적으로 장기간 휴업에 들어갔지만 영업중단이 길어지면서 겪는 고충이 심각한 수준”이라면서 “특히, 소규모 체육시설과 프리랜서(비정규직) 체육관련 종사자 등은 소득이 전무한 상태에 놓여 있어 긴급한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황 의원은 “지난 달부터 도내 체육공동체들과의 지속적인 간담회를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고충이나 정책제안 등을 수렴해 왔는데 유독 체육계 종사자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지원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황 의원은 “더 큰 문제는 경기도 해당부서의 답변이 앞으로도 지원방안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어서 체육공동체의 실망감과 벼랑 끝에 놓인 경제상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황 의원은 “경기도의 2020년 체육 관련 예산은 1467억원으로 서울시 1643억원에 엇비슷해 보이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용도 변경이 불가능해 손도 못 대는 국비가 1000억원으로 실제로는 도비 467억원 정도만이 투입 가능한 체육 관련 예산이고, 이마저도 대부분이 도내 산하 체육단체 운영에 투입되고 있어 경기도 차원의 체육공동체를 위한 대책 마련은 구조적으로 기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체육인 출신이기도 한 황대호 의원은 “코로나 19로 인해 경기도 체육정책의 민낯이 드러났는데 결론은 경기도 체육을 위해선 독자적으로 아무런 지원을 할 수 없는 원천적 구조라는 것”이라면서 “도내 체육인들의 고충과 실질적 지원을 할 수 있는 체육정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패러다임의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