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행정] 스쿨존 안전점검 나선 정원오 구청장
차량인식 가능한 스마트횡단보도 설치운전자 속도 알려주는 스마트시스템도
“안전한 등하굣길 만들기 최우선 추진”
정원오(왼쪽 두 번째) 성동구청장이 지난 10일 오전 경수초등학교 정문 앞 옐로 스쿨존에서 구 관계자들과 함께 어린이보호구역 안전 시설물 점검을 하던 중 등교하는 초등학생과 인사하고 있다. 성동구 제공 |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은 지난 10일 경수초등학교 앞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을 직접 찾아 아이들의 교통안전을 챙기며 이같이 말했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초등학교 1~2학년 아이들이 매일 등교하게 되면서 스쿨존 시설물 및 워킹스쿨버스 운영 등에 빈틈이 없는지 현장 점검에 나선 것이다. 이날 찾은 경수초 앞 스쿨존은 지난해 구가 시범사업을 통해 조성한 ‘성동형 옐로 스쿨존’이다. 스쿨존 일대 도로 및 안전펜스, 경계석 등 부속물 전체를 노란색으로 바꿔 멀리서도 운전자들이 보호구역임을 확인하고 저속 운행할 수 있도록 해 안전을 강화했다.
구는 지난해 3월 시행된 일명 ‘민식이법’(도로교통법 및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 이전부터 빅데이터 분석 및 주민 공청회 등을 통해 스쿨존 내 과속단속카메라 설치가 필요하다고 봤다. 2018년부터 자체 예산을 투입해 선제적으로 설치, 지난해까지 21개 모든 초등학교에 일찌감치 과속단속카메라 설치를 마쳤다.
과속단속카메라 설치 외에 성동형 교통 안전시설물을 더한 것도 특징이다. 구는 올 한 해 총 27억여원을 투입, 스쿨존 안전 강화에 나선다. 스마트 기술이 적용된 교통안전 시설 확충은 물론 민·관·학의 협력, 돌봄서비스까지 더한 전방위적인 어린이 통학로 안전대책이다.
대표적인 게 ‘성동형스마트횡단보도’다. 횡단보도에 집중조명·차량번호 자동인식·보행신호 음성안내·바닥신호 등 8가지 스마트 기술을 집약해 정지선 위반을 막는 데 성과를 올리는 전국 최초의 스마트횡단보도는 올해 12곳을 추가, 모두 25개로 확충한다. 제한속도 시속 30㎞를 초과해 달릴 경우 전광판에 위반 차량의 사진과 번호를 보여 줘 운전자의 경각심을 높이는 ‘스마트 스쿨존 시스템’도 4곳에서 운영 중이다.
정 구청장은 “2017년부터 3년간 21개 모든 초등학교에서 주민 참여로 이뤄 낸 안전한 등하굣길 만들기 등 아이들의 교통안전은 성동의 최우선 정책”이라며 “학부모와의 소통을 기반으로 보다 안전한 보행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