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2억 투입… 친환경차 보급 확대
신도시 통합교통서비스 도입 추진
|
이재명(왼쪽) 지사와 공영운(오른쪽) 현대자동차그룹 사장이 28일 ‘친환경차 인프라 구축 및 미래 모빌리티 도입 확대를 위한 경기도-현대자동차그룹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경기도 제공 |
양측은 협약에 따라 친환경차 보급, 자율주행, 미래 모빌리티 등 모두 3개 분야 5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에 협력하기로 했다.
사업비는 1022억4200만원이 투입된다.
양측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상용 수소전기차 보급 지원과 수소충전소 인프라 확충에 힘쓴다.
내연기관 청소트럭을 수소청소 트럭으로 바꾸는 교체 실증사업도 추진한다.
자율주행 여객운송서비스 희망 모빌리티 기업을 대상으로 ‘판교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교통신호정보 서비스 확장’을 추진해 더 많은 기업을 위한 다양한 통신서비스 지원과 자율주행실증단지 활성화를 꾀한다.
마지막으로 미래 모빌리티 활성화를 위해 수요응답 및 차세대 통합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개발과 사업추진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이용자의 호출에 따라 최적 경로로 제공되는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인 ‘경기도형 DRT 시범사업’과 신도시 교통 편의성 증대를 위해 공유PM, 카셰어링, DRT, 열차, 주차장 등을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검색·선택·예약·결제할 수 있는 ‘신도시 통합교통서비스’ 도입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상용 수소전기차 보급 및 수소충전소 구축을 통해 정부의 ‘그린뉴딜’을 견인하고 자율주행 모빌리티 기업의 신성장 동력 확보와 지역 특성 반영한 이용자 맞춤형 교통체계 구축이 가능해져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명 지사는 “대대적 산업·경제 개편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선도적으로 적응하고 대응해야 한다”며 “이럴 때일수록 정부는 창의·혁신을 바탕으로 자유로운 기업 활동이 가능하도록 각종 불합리한 규제를 없애고 합리적 규제로 공정한 경쟁환경을 만드는 것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경기도 역시 환경과 일자리,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중요한 과제들을 마주하고 있는 만큼,현대차그룹과 전기차, 친환경차, 미래 모빌리티 등 미래 신산업 성장에 적극적으로 함께 하겠다”며 “우리 기업들이 세계 시장 진출에서 압도적 우위를 점하도록 열심히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