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교육원 등 8개 마을기관·활동가 참여
경기 광명교육지원청은 청내 광명실에서 광명개방형 고교학점제 온마을캠퍼스 확대를 위해 학교 밖 학점이 인정되는 광명 지역사회 학습장 4곳을 추가로 심의·승인했다고 29일 밝혔다.이로써 광명교육지원청 지역사회 학습장은 총 8곳이 승인됐으며, 추가 선정된 4곳은 2022학년도 광명개방형 고교학점제 온마을캠퍼스로 운영될 예정이다. 추가 기관은 한국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교육원과 광명청소년수련관·광명창업지원센터·광명농악보존회로 모두 4곳이다.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과목선택권을 주는 제도로 현장에서는 실제 교사가 부족해 원하는 모든 과목을 개설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교육지원청이 공동교육과정을 만든 게 고교학점제다.
서지영 광명교육지원청 장학사는 “예를 들어 한 학교에서 5명만이 음악이론을 배운다고 했다면 정원부족으로 바로 폐강되지만 광명시내 11개 고등학교 학생들이 모여 13명 이상이면 지역사회 학습장에서는 해당 과목 개설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제도를 공동교육 과정이라고 하며 수업을 학교에서 하는 게 아니라 지역기관에서 진행한다. 정규수업 과정의 하나이며 정식 학점으로 인정된다. 보통 학교에서는 방과후에 실시하는 데 비해 지역사회 학습장에서는 정상수업 시간 과정 중에 진행한다”고 덧붙였다.
김광옥 광명교육지원청 교육장은 “광명 지역사회 학습장을 통해 초중고 교육과정이 연계되고 빛깔 있는 교육과정 다양화 노력이 확산되기를 바란다”며,“학교 안팎의 경계를 넘어 온마을이 배움터가 되는 광명개방형 고교학점제 온마을캠퍼스 확대와 현장 지원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