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기 의원은 제305회 임시회 도시계획관리위원회 소관 부서 업무보고를 통해 “신속통합기획 후보지에서 탈락한 지역들이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과 소규모주택 관리구역 사업을 추진하려 하지만 많은 혼란과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28일, 신속통합기획 적용 민간재개발 후보지 공모를 통해 주민접수 102곳 중 최종 21곳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선정지역은 2022년 초 정비계획 수립에 착수해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정비구역으로 지정하고 사업이 완료되면 2만5천호의 주택이 공급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장 의원은 “지역에서는 신속통합기획이 아니면 민간재개발은 안 된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민간재개발이 모두 신속통합기획으로 쏠렸다. 주민접수 102곳 중 21곳만 선정된 만큼 나머지 81개 지역도 대안을 찾아 차분하게 준비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주민들 스스로 신속통합기획 이외의 대안을 고민하는 지역들은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과 소규모주택 관리구역으로 추진 중이다. 지역에 혼란이 많으므로 3월로 예정된 지자체 교육에서 저층 주거지 개발방안 등을 검토해 공공이 사전에 대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추진해 달라”고 당부했다.
“소규모주택 관리구역을 10만㎡ 이하로 규정하다 보니 단순히 면적이 10만㎡를 초과한다는 이유로 추진 못하는 지역이 꽤 있다”며 면적 제한의 취지와 지역의 현실에 대해 다시 한번 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소규모주택 관리구역에서는 심의를 통해 종상향할 수 있도록 조례로 허용하고 있는데 서울시가 이를 너무 소극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1종에서 2종, 2종에서 3종, 3종에서 준주거지역으로 과감하게 종상향해 조례의 취지에 맞게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장 의원은 지난해 추경에 5억원을 반영했지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김포공항 주변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이 조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대책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온라인뉴스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