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민규 서울시의원 5분자유발언 모습 |
올해 1월 서울시 만 3세부터 5세까지의 아동 현황에 따르면 약 2천3백여명의 외국국적 유아가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다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608명(약70%)의 외국아동은 어린이집의 보육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교육청 산하의 유치원 외국아동과 달리 서울시 어린이집 외국아동은 보육료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복지 영역에서 배제돼 있는 것이다.
반면 교육청은 작년부터 서울시의회와 함께 외국국적 유치원 유아 지원을 위한 조례 개정에 착수하고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를 통해 본 안건을 교육부에 건의하는 등 꾸준한 준비를 해왔다. 이에 올해 약 18억7천여만원의 예산으로 국적에 상관없이 모든 유치원 유아가 학습권을 보장받는 보편적 복지제도가 개선됐다.
서울시의 외국아동 지원 계획이 묘연함에 따라 어린이집 재원 아동이 유치원으로 대거 이동하는 문제도 사안의 심각성을 더한다. 외국아동 비율이 90% 이상인 특정 지역 어린이집들은 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어려움에 직면한 것이다. 심지어 외국아동 가정은 코로나19 사태로 어린이집의 실질적인 대면 보육이 줄었음에도 여전히 같은 보육비를 내야 하는 역차별적인 상황에 내몰려있다.
온라인뉴스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