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전략 10대 부문 39개 중점과제 시행
|
경기도청 전경 |
경기도는 이런 내용의 ‘2022년 경기도 대기환경 개선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4대 전략 10대 부문 39개 중점과제를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도는 생활 분야, 정책·협력, 수송, 사업장 관리 및 배출원 농도 저감 등 총 4대 전략을 설정했다. 총 39개 세부 사업의 사업비 규모는 5744억원에 달한다.
지난해 실증사업을 거쳐 올해 처음 보급하는 버스형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오염공기를 프리필터(큰 먼지 제거)와 카본필터(악취물질 제거), 헤파필터(초미세먼지 제거), UV-LED(부유세균·바이러스 살균)를 통해 청정공기로 바꿔준다.
수원시 등 10개 시·군 상업지역, 산업단지 부근 등 고농도 미세먼지 배출지역 내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과 같은 취약계층 이용시설에는 간이 측정기, 미세먼지 흡입매트, 스마트 에어샤워, 창호부착형 환기시스템 등을 설치한다.
아울러 초광역 서해안권(경기·인천·충남)과 평택·당진항만 대기질 개선사업,유엔환경계획(UNEP) 공동연구 등 정책 협력사업도 추진한다.
이밖에 전기이륜차와 전기굴착기 보급, 고체연료·고황유 등 고농도 연료 사용 제한지역 확대도 중점 시행한다.
도는 올해 4월부터 내년 3월까지 미세먼지 39㎍/㎥, 초미세먼지 20㎍/㎥, 이산화질소 18ppb, 오존 28ppb로 목표 농도를 설정했다. 지난해 측정 농도는 미세먼지 42㎍/㎥,초미세먼지 21㎍/㎥, 이산화질소 19ppb, 오존 29ppb 수준이었다.
박대근 미세먼지대책과장은 “이번 계획은 수도권 대기환경 시행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연차별 계획으로 타 시·도에 비해 열악한 경기도의 대기질 개선에 목적을 뒀다”라며 “도민들이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대기오염물질로부터 안전하고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동원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