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지음 활력 프로그램 인기
북라운지·공유부엌 등 갖춰
활동·교류 등 맞춤형 지원도
10일 용산구에 따르면 청년지음은 청년들에게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전용 공간으로 2020년 11월 문을 열었다. 용산역 인근에 있으며 서울시 청년 공간 중 최대 규모(710㎡)다. 미니영화관, 전시실, 북라운지, 힐링룸, 공유부엌 등을 갖췄다. 김 센터장은 “북라운지의 경우 열려 있는 공간이어서 누구나 언제든지 찾아와 책을 읽거나 보드게임 등을 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청년지음은 공간 제공과 시설 대관은 물론 청년 맞춤형 지원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워킹 라이프쉐어 역시 지친 청년들을 위해 기획된 것으로, 개관 후 첫 야외 행사였다. 청년활동실험, 청년교류형성, 청년교육 등의 다양한 사업을 진행 중인 청년지음에는 지난해 한 해 동안 약 9500명이 방문했다. 조사 결과 이용객 중 87.6%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용산구는 청년지음과 같은 청년 전용 공간뿐 아니라 취·창업 지원, 교육, 교류 형성, 마음 건강 돌봄까지 청년을 위한 종합 지원책을 추진 중이다. 다음달부터는 청년들의 최대 관심사인 취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사업도 잇달아 선보인다. 메타버스 활용 맞춤형 취업 특강과 그룹별 자기소개서·면접 클리닉을 통해 기업 현직자와 구직 청년이 만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어 ‘기업탐방단’, ‘직장체험 프로그램’, ‘무역마스터 육성 과정’ 등을 준비 중이다.
청년 마음 건강을 돌보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 5월부터 숙명여대 앞 카페 4곳을 마음 건강 카페로 지정하고 자가진단 QR코드를 삽입한 컵 홀더를 제공하고 있다. 자가진단을 한 청년 중 위기군이 발견될 경우 구는 정신건강의학과와의 무료 상담을 연결해 준다.
최선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