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는 총 3846개 단지 163만 세대로 구성돼 있으며, 서울시민의 42.8%가 아파트에 살고 있다. 아파트에서 소비하는 전기는 연간 약 6273GWh 규모로 이는 석탄발전소(1GW급)가 1년 동안 생산하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서울에너지설계사는 지난 4월부터 에너지컨설팅을 위해 3846개 아파트 단지를 직접 방문해 에너지 소비현황과 계약방식을 전수조사하고 있다. 현재 2687개 단지 조사를 마쳤고 나머지 단지도 이달 말까지 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서울에너지설계사는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상점 등의 에너지사용 실태를 조사해 낭비를 줄여주는 인력으로, 현재 25명이 활동 중이다.
서울에너지설계사는 아파트의 전기·수도·난방 사용현황과 계약방식, 검침일, 친환경시설, 기기설비 등을 조사한다. 결과에 따라 공용 전기요금은 물론 세대별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도록 적정 검침일 변경, 지하주차장 등 공용부문 LED조명 교체, 고효율 펌프 교체, 1등급 전자제품과 친환경보일러 사용 등 ‘꿀팁’을 제시해준다. 전기요금 절감법은 ▲적정 검침일 변경 ▲지하주차장 등 공용부문 LED 조명 교체 ▲1등급 전자제품과 친환경보일러 사용 등이다.
특히 아파트 단지는 일반 주택과 달리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설비 등이 있어 계약을 통한 전기요금 제도를 사용하는데 계약방식만 바꿔도 전기요금을 대단지 기준 연간 1억원 이상 줄일 수도 있다. 통상 주택용 고압 단가를 적용받는 단일계약이 세대·공용 부문이 각각 다른 단가를 적용받는 종합계약에 비해 저렴한 경우가 많다. 시는 종합계약을 사용하는 단지에 단일계약 방식으로 변경을 권유할 계획이다.
윤재삼 서울시 환경시민협력과장은 “앞으로 중소형 건물까지 에너지컨설팅을 해 건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하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