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부위원장은 지난 2월 자치구 공모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천르네상스 사업 3개소와 4월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4개의 사업이 휴식과 지역 경제를 살린다는 취지로 기존 인프라가 구축된 지역에 집중돼 있다고 지적하면서, 서울시 수변감성도시 사업은 공공사업이고 세금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므로 하천을 접하고 있는 자치구에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도록 사업지 선정이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지역적인 여건에 따라 어떤 자치구는 지역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조금 낮게 평가될 수도 있고 그런 이유로 배제된다면 하천 주변이 홍수 시 범람의 위험만 있고 수변감성도시의 혜택은 전혀 받지 못하는 차별을 받게 된다. 다음 수변감성도시 사업선정에 구로구는 형평성을 고려해 평가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물순환안전국장은 하천이 있는 곳이면 누구나 혜택을 누려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골고루 수변감성도시가 선정되도록 위치 선정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온라인뉴스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