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김포금쌀’
|
김병수 김포시장이 김포금쌀을 홍보하고 있다. 김포시 제공 |
이런 여러 가지 요소를 만족시켜 주고도 남는 으뜸쌀 ‘김포금쌀’이 있다. 김포는 새로운 변화의 싹이 움트는 곳이다. ‘김포한강신도시’라는 새 얼굴과 ‘곡창지대’라는 옛 명성의 구수한 얼굴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도시이기도 하다.
김포의 북부지역은 벼농사에 적합한 청정지역이다. 김포금쌀이 좋은 평가를 받는 이유는 첫째 기상 조건이 벼농사에 알맞은 덕이다. 벼가 익는 시기의 적정온도는 21~23도인데 김포의 평균온도가 22도다. 또 벼가 익는 시기의 적정 일교차는 6~10도인데 김포의 일교차는 10도다.
벼농사에 좋은 땅인 하해혼성충적토(河海混成沖積土)로 토양이 기름지다. 한반도의 젖줄인 한강의 풍부한 물을 농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어 체계적인 영농이 가능하다.
김포금쌀은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서 평가하는 ‘고품질 브랜드쌀 평가’에서 2003~2010년 기간 동안 6회에 걸쳐 우수 브랜드로 선정됐다. 2012년에는 경기지역 우수 브랜드에도 선정됐다. 국가인증 지리적 표시 획득 및 김포시 농특산물 통합상표(금빛나루) 인증제도를 통해 시에서 직접 김포금쌀 밥맛을 관리한다.
명종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