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전체 주택 거래 중 76%
3년 전 아파트 거래 67%보다 껑충서울 5층 이하 9975건, 전체의 29%
고층보다 고가 거래… 가격 방어도 최근 ‘아파트 쏠림 현상’이 가중되면서 전체 주택 거래(매매·전월세) 가운데 아파트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기존엔 인기가 없던 저층 아파트들도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 거래 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아파트 매매량은 23만 6374건으로 전체 주택 매매량 31만 751건 중 76.1%를 차지했다.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21년 같은 기간 66.7%에서 2022년 59.3%로 소폭 줄었다가 지난해 74.1%로 치솟은 뒤 오름세를 이어 가고 있다.
서울 주택 매매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2만 4775건으로 전체 서울 주택 거래(4만 1026건) 중 60.4%로 높다. 서울 아파트 매매 비중은 2021년 40.4%에서 2022년 28.4%로 줄었다가 지난해 57.0%로 급증한 뒤 계속 많아지는 추세다.
매매와 전월세 거래를 모두 합칠 경우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 거래량(49만 2783건) 중 아파트 거래(39만 4000건) 비중은 80%까지 올라갔다. 2021년 상반기엔 전체 주택 거래 89만 2227건 중 65만 2369건(73.1%)이 아파트 거래였다. 2022년 같은 기간엔 아파트 거래 비중이 70.2%으로 소폭 줄었지만 지난해부터 다시 치솟았다.
올해 상반기 전체 주택 매매거래 중 비(非) 아파트에 해당하는 단독주택과 빌라(다세대·다가구·연립주택)의 매매 거래는 각각 2만 4456건(7.9%), 4만 9921건(16.1%)에 그쳤다.
아파트 집주인들이 가격을 올려 파는 경우도 전반적으로 많아지는 상황이다. 이날 직방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중 종전 거래 가격과 비교해 가격이 높게 거래된 비중은 51.7%에 달했다. 전국 아파트 거래의 경우 이 수치가 46%였다.
김가현 기자
2024-08-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