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9곳서 37곳으로 확대 운영
부산 작년 14곳 2만 5000건 이용
제주 1월 1275명 이용… 2배 늘어
경북도는 지난달 24일부터 심야에 의약품을 구입할 수 있는 공공 심야약국을 9곳에서 37곳으로 대폭 확대했다고 23일 밝혔다. 공공 심야약국은 공휴일을 포함해 매일 밤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1시까지 문을 연다. 도 관계자는 “의약품 오남용 예방과 안전한 투약을 위해 심야약국을 계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했다.
대구시는 이달부터 공공 심야약국을 10곳에서 12곳으로 확대 운영한다. 이번에 동구, 달성군에 심야약국 1곳씩이 추가됨으로써 군위군을 제외한 대구 전 지역이 공공 심야약국을 갖추게 된다.
부산시도 올해 공공 심야약국을 총 16곳으로 늘린다. 부산시 공공 심야약국은 2021년 4곳으로 시작해 지난해에는 14곳으로 확대 지정됐다. 지난해 기준 연간 2만 5000건 이상의 의약품 판매와 복약 상담이 이뤄졌고 30∼50대가 가장 많이 이용했다.
울산시는 올해 들어 공공 심야약국을 2곳에서 4곳으로 확대 운영에 들어갔다. 공공 심야약국 참여약국 공모를 진행해 주약국(남구 돋질로 369)과 GM약국(울주군 범서읍 구영로 86)을 추가 선정했다.
제주도는 올해부터 공공 심야약국 6곳의 운영 일수를 종전 ‘주 3일 이상’에서 ‘주 6일 이상’으로 확대했다. 이번 조치로 공공 심야약국 이용객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는 지난 1월 공공심야약국 이용자가 127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623명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늘었다. 시간별로는 밤 9시부터 10시가 82%, 밤 10시부터 자정까지는 18%로 나타났다.
안동 김상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