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7일(월),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기업의 도전과 혁신, 스케일업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 스케일업 팁스(일반형) 기업 지원계획」을 공고한다고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는 본격적인 성장단계의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사로부터 1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면 정부가 기술개발(R&D)을 3년간 최대 12억원까지 지원하고, 후속투자 유치 등 성과를 창출한 기업에는 모태펀드에서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최대 20억원의 자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기업지원 계획에 포함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➊ 트랙 세분화(일반형/글로벌)
2025년부터는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는 기업의 기술개발(R&D)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3년간 최대 15억원의 기술개발(R&D) 자금을 제공하는 글로벌 트랙(24개, 신규)이 신설됐다. 지원이 강화된 만큼 일정액 이상의 해외투자 유치 등 일반형보다 강화된 요건이 부여될 전망이며, 상세내용은 별도로 공고된다.
이번에 모집하는 일반형 과제는 총 102개로, 초격차 10대분야, 국가전략기술 12대 분야, 탄소중립분야 등 전략기술 기반의 유망한 중소벤처기업을 지원한다.
➋ 전략분야 특화 지원체계 도입
인공지능(AI), 생명과학(바이오) 등 전략분야의 기술개발(R&D) 수행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특화된 지원체계를 도입한다. 2025년은 기존 24개 운영사 연합체(컨소시엄) 중 해당 분야의 발굴 실적과 기술개발(R&D) 지원역량이 뛰어난 운영사를 '특화 운영사'로 지정하고, 향후 운영사 선정 시 전략분야 특화 역량을 중점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기존의 운영사 연합체(컨소시엄)에도 변화를 유도하여 기업의 다양한 지원수요에 대응한다. 역량과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연합체(컨소시엄) 구성의 추가·변경을 허용하고, 운영사에 대한 평가 및 성과보상(인센티브) 체계도 실질적인 스케일업 지원 실적을 중심으로 개선된다.
또한, 운영사별로 기업의 기술개발(R&D) 수행을 지원할 전담 관리자(코디네이터)를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관리자(코디네이터)는 스케일업 팁스 기술개발(R&D)을 수행하는 기업이 필요한 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프로젝트 매니저(PM)의 역할에 더하여 연합체(컨소시엄)간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➌ 기술개발(R&D)과 지분투자의 연계성 강화
기존에는 운영사로부터 선행투자를 받고 나면 기쉴개발(R&D) 또는 지분투자 중에서 지원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다. 2025년부터는 두 가지 수단간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원의 효과성을 높이고, 기술개발(R&D) 수행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는 자금조달 수요를 지원하기 위해 기술개발(R&D)을 먼저 수행한 이후, 기업의 성장에 맞추어 지분투자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개편된다.
<스케일업 팁스 일반형 지원조건 및 규모>
구분 | R&D | 지분투자 |
지원조건 |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 10억원 이상 先투자 |
스케일업 팁스 R&D 마일스톤 달성 및 운영사 5억원 이상 후속투자 |
지원규모 | 신규과제 102개 | 미정 (지원조건 달성여부에 따라 변동) |
지원내용 | 최대 12억원(3년) | 1배수 이내 매칭투자, 최대 20억원 |
신청·접수 | 수시 | |
선정평가 | 4,5,7,9,11월 |
기타 상세한 내용은 4월 14일(월) 14시부터 온·오프라인 사업 설명회*를 통해 안내되며, 사업 참여에 관심이 있는 기업은 스케일업 팁스 운영사(24개 컨소시엄, 참고)나 전담부서(역삼 팁스타운 S5 3층 소재, ☎02-2280-0422/0426)에 직접 문의할 수 있다.
* (오프라인) 역삼 팁스타운(S1) B1F 팁스홀
(온 라 인) 유튜브 중계(https://www.youtube.com/@-tipalive)
한편, 지난 3년(2022년~2024년)간, 스케일업 팁스를 통해 총 379개 기업에 민관을 통틀어 1.5조원 이상*의 자금이 투입되고 있다. 그 중 민간 운영사의 선행투자 규모는 약 5,833억원에 달하며, 선정기업 중 111개사(약 30%)가 벤처투자사(캐피탈) 등으로부터 약 5,567억원의 후속투자 유치를 이뤄냈다.
* 1.5조원 = 운영사 선행투자 5,833억원 + 정부지원 4,545억원(지출예정 포함)
+ 선정 이후 후속투자(VC 등) 5,567억원
스케일업 팁스 지원을 받은 기업 중 기업공개(IPO)에 성공한 기업도 누적 9개사로, 혁신기업에 대한 민간 투자 활성화 효과와 성장 촉진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코스닥 : ('23) 코어라인소프트, ('24) 사피엔반도체, 아이언디바이스, 루미르, 닷밀, ('25) 티엑스알로보틱스
** 코넥스 : ('22) 엔젯, ('23) 아이엠지티, ('24)에이엠시지
.
박용순 기술혁신정책관은 "연계투자 방식을 성과와 연동하여 지원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 실질적 성과 창출을 위해 제도를 개선했다"고 말하며, "스케일업 팁스와 같은 혁신적 기술개발(R&D) 지원모델을 통해 중소벤처기업이 전략분야 기술개발에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하고, 국가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