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이종순, 이하 '농정원')은 4월 1일(화) 스마트팜 통합 정보제공 플랫폼(smartfarmkorea.net, 이하 '스마트팜코리아') 사이트를 새단장하고, 신규로 개방하는 데이터셋을 선보였다. 이어서 4월 7일(월) 스마트농업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플랫폼 개편 및 신규 개방 데이터셋에 대한 설명회를 갖고, 스마트농업데이터에 대한 기업들의 수요조사도 실시하였다.
농식품부는 '16년도부터 스마트팜코리아를 운영해 오고 있다. 해당 플랫폼에서는 스마트농업 관련 정보 및 정부 지원사업 등을 안내받고, 스마트농업 기술을 도입한 농가에서 생산되는 각종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해당 사이트는 '22년도 개편 후 3년 만에 전면 개편되었다.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한 눈에 보기 쉽도록 통합하여 구성하고, 핵심 컨텐츠(데이터 마트, 분석서비스 등)를 전면 배치하였으며, 스마트팜 관련 정보를 보강하고(지원사업 및 교육정보 추가) 검색 편의성도 개선하였다.
사이트 개선과 함께 종래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비스로 실시간 제공되던 원천데이터 중 일부를 사용하기 편한 형태(csv파일 등)로 가공하여 사이트에 업로드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농업데이터 사용자들이 더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데이터셋으로 새롭게 소개되는 데이터로는 ➊스마트팜 혁신밸리(농가 107호)의 환경·생육 정보, ➋민간 기업이 데이터 기반 스마트농업 확산지원사업(750호)을 통해 생산한 환경·생육·특성화 정보, ➌시설원예 우수농가(5호)의 환경·제어·생육·경영 정보가 있다. 그 외에도 오픈 API*로 약 2,000여 농가의 각종 스마트농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 오픈 API 서비스에 '시설원예 스마트팜 기본수집항목 데이터풀셋' 추가('25.4.~)
농식품부는 관련 업계의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고 있다. 스마트농업 현장에서 수집·개방되는 데이터의 주요 고객은 스마트농업 분야 솔루션 기업이다. 4월 7일 개최된 스마트농업 데이터기업 연찬회에서는 △스마트농업 솔루션 개발을 위한 데이터 수요, △향후 데이터 수집 정책방향, △데이터 활용도 제고방안 등이 논의됐다. 업계의 데이터 수요로는 △작물 이미지 등 비정형 데이터, △농작업 데이터, △생산비 등 경영 정보 등이 제시되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농식품부 빅데이터전략팀 박경희 과장은 "한국 농업의 미래 성장을 이끌 스마트농업의 도약은 이제 데이터에 기반한 AI 등 첨단 기술 도입과 정밀농업 발전에 달려 있다"며, "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가 수집되고 공유되며 스마트팜코리아가 스마트농업데이터 생태계 조성의 마중물 역할을 제대로 하도록 정부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스마트팜코리아 이용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농정원(T.044-861-8733)으로 문의 가능하다.
붙임 1. 신규 개방 데이터셋 개요
2.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 개편 주요내용(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