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내다보는 신통력이라도 있는 사람이라면 우리의 조상들은 당장이라도 달려가 길흉화복을 점쳤을 것이다.열 중에서 넷은 맞고 여섯은 틀려도(즉 적중률이 4할이라도),미래에 대해 까맣게 모르는 것보다는 낫다는 생각에서 우리의 조상들은 점성술사나 무당에게 매달렸을 것이다.혹시 인간의 길흉화복을 주관하는 신이 있다면 그 신에게 뇌물을 써서라도 액운을 막아보겠다는 염원으로 신께 제사를 지내기도 했으리라.
그러나 인간의 염원을 담아 시에게 기원을 해도 비 한 방울은커녕 푹푹 찌는 폭염은 무자비하게 농작물을 시들게 했고,매정한 메뚜기떼는 정성스레 가꾼 농작물들을 황폐화시켰을지도 모를 일이다.대체 이 일을 어찌할까.혹시 자연을 잘 관찰하면 미래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우리의 선조들은 생각했을지도 모른다.아닌게 아니라 해결의 기미는 있었다.오호,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온다.어쨌든 제비가 낮게 나는 사실과 비가 온다는 사실이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아챈 것이다.곤충의 날개는 날씨가 습해지면 대기중의 습기를 흡수해서 무거워진다.그래서 곤충들의 비행 고도가 낮아지게 된다.곤충들의 비행고도가 낮아지면 그것들을 잡아먹기 위해서 제비들의 비행고도도 낮아진다는 삼단논법식 추리를 하기까지는 훨씬 더 오랜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러나 제비가 낮게 난다는 사실이 비가 온다는 사실과 항상 연결된 것은 아니었다.단지 무당의 예언보다는 조금 적중률이 높을 뿐이었다.어디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없을까.조상들의 고민은 깊어갔다.바로 이 고민들이 만들어낸 것이 ‘과학’이었다.비가 온다면 그 이유를 밝혀라,장마가 진다면 그 이유를 밝혀라,태풍의 이유를 알아내고 그 경로를 예측하라.이리하여 인간은 태풍,장마,가뭄과 같은 자연의 불확실성 하나하나를 극복해가게 된다.위대한 과학이여,위대한 이성이여,사람들은 장밋빛 환상에 젖게 되었고 과학만이 살길이라고 부르짖었다.기차가 달리고 비행기가 날고 로켓이 치솟고 과학의 힘을 빌려 하루하루 눈부시게 세상은 달라졌다.
그러나 영화 ‘투모로우’가 보여주는 미래상은 어둡다.엄청난 기상재앙은 미래를 예측하겠다는 과학자들의 포부가 얼마나 헛된 것인가를 보여주고,폭설에 덮인 뉴욕의 거리는 장밋빛 미래를 약속하겠다던 과학자들의 믿음이 얼마나 교만했던가를 보여준다.영화 ‘투모로우’는 과학이 왜 겸손해야 하는가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서울 배문고 교사 desert44@hitel.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