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의 단골집이란 마장동 하면 연상되기 쉬운 ‘고깃집’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마장동에는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를 이끈 숨겨진 주축 중 하나인 ‘유니버설 레코드(02-2293-3390)’가 있다.
지금은 기획사들마다 독자적인 음반 녹음실을 둔 경우도 많고 자신의 집에서 컴퓨터와 악기를 이용해 음반을 만드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지금부터 약 30∼40년 전만 하더라도 서울에는 서울, 장충, 유니버설 등 단 세 곳의 녹음실만 있었다. 그 중에서도 녹음전문 엔지니어 이청씨가 운영하는 마장동 유니버설 레코드에는 한국 대중음악사에 지대한 업적을 남긴 가수나 작곡가들의 녹음작업이 많았다. 신중현, 김민기, 김희갑, 산울림, 송골매, 펄시스터스 등이 이곳에서 음반작업을 거쳤다. 최근에는 특유의 미성으로 독자적인 마니아층을 형성하는 가수 김경호씨나 그룹 신화의 멤버인 전진씨의 아버지 찰리박이 음반을 녹음했다.
서울 성동구에 속한 마장동은 조선 초기 말을 기르던 양마장(養馬場)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이름으로 불린다. 마장동의 옛이름 가운데 웅마장리(雄馬場里), 서울 광진구 자양동의 옛이름중 자마장리(雌馬場里)가 있는 것으로 보아 마장동에서는 수말을, 자양동에서는 암말을 키웠던 곳으로 추측된다.
지난 1963년까지 운영되던 종로구 숭인동 도축장이 마장동으로 옮겨오면서 자연스럽게 생긴 마장동 ‘우시장’은 리모델링해 ‘마장동 축산물시장’으로 다시 태어났다. 마장동 서울시 시설관리공단 건물 19∼20층에는 서울시내 도시고속도로를 종합관리하는 ‘교통관리센터’가 있다. 내부순환로의 차량이동대수와 평균속도, 사고여부 등의 교통정보를 30초 단위로 수집분석해 도로변 전광판이나 인터넷(smartway.seoul.go.kr)이나 자동응답전화(02-2295-2119)로 알려준다.
청계천 복원공사가 진행되면서 마장동은 청계천 복원의 대표적인 수혜지역으로 손꼽힌다. 청계고가도로가 지나 시계가 막히고 교통흐름이 좋지 않았던 이 지역은 청계천변을 조망할 수 있어 기존 아파트와 신규분양 아파트 모두 인기가 높다. 청계천 복원공사가 마무리될 때쯤 마장동에는 청계천의 역사와 문화 등의 자료를 보관, 전시할 청계천 문화관도 들어서게 될 예정이다.
고금석기자 ksko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