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활용, 만족도 높아
디자인 산업이 성장하면서 컬러리스트에 대한 관심도 부쩍 높아졌다. 특히 컬러리스트 자격증은 활용도가 높아 인기다. 사진은 색채향연이 펼쳐진 지난해 컬러 엑스포(서울 삼성동 코엑스)의 모습.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
또 컬러리스트 자격은 활용도가 높다 보니 취득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삼성에버랜드 디자이너 2년차인 김정민씨는 “컴퓨터그래픽을 통한 실내설계를 맡고 있는데 색감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활용할 수 있어 디자인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을뿐더러 인사카드에도 자격취득 사실이 명시돼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고 만족감을 나타냈다.
때문에 국가자격으로 신설된 지 3년 남짓만에 인기가 대단하다. 컬러리스트기사 자격의 경우 2002년 신설 당시 2000여명이 응시했지만,2년 후인 2004년에는 지원자가 1만여명으로 5배가 늘었다.
●그룹스터디로 시험 대비
컬러리스트 자격증은 기사자격과 산업기사자격으로 나뉜다. 현재 컬러리스트 기사는 3300여명, 컬러리스트 산업기사는 3100여명이 배출됐다.80%이상이 여성이며, 디자인 전공자가 대부분이다.
기사자격의 경우 4년제 대학 졸업자나 관련분야의 경력이 4년 이상 있어야 응시할 수 있다. 산업기사는 2년제 대학의 학력이나 2년 이상의 경력이 있어야 한다.
시험은 필기 및 실기시험으로 치러진다. 필기시험 과목은 기사의 경우 ▲색채심리·마케팅 ▲색채디자인 ▲색채관리 ▲색채지각론 ▲색채체계론 등이며 산업기사는 ▲색채심리 ▲색채디자인 ▲색채관리 ▲색채지각의 이해 ▲색채체계의 이해 등이다.
또한 실기시험을 위해서는 색채의 속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대비효과 표현도 능숙해야 한다. 특히 기사자격 시험에서는 색채계획서 작성은 물론 도면작성까지 평가하기 때문에 만만치 않다. 하지만 특별히 수험서나 학원수업이 따로 있지 않기 때문에 그룹스터디를 통해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대학 졸업반인 김민경씨는 “디자인 전공이다 보니 주위에서 컬러리스트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친구들이 많다.”면서 “친구들끼리 스터디그룹을 만들어 공부하기도 하고, 인터넷에 컬러리스트 준비카페가 많기 때문에 온라인을 통해 정보를 얻기도 한다.”고 소개했다.
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
2005-8-22 0:0: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