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서울시장은 청계천 공사를 앞두고 직원들에게 이렇게 지시했다고 말한 적 있다.2003년 7월 청계고가도로 철거공사를 무난하게 시작한 뒤다. 민원인의 압박이 있어도 태도가 달라지지 않아야 공공분야에 대한 신뢰가 싹튼다는 얘기다.“공사 때문에 생계가 어렵게 됐다며 시장실을 찾아온 대표자에게 ‘손목에 찬 시계가 롤렉스 아니냐.’고 물었더니 꼼짝 못하더라.”는 말도 곁들였다.
서울시가 각종 역점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민과의 갈등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보여 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25일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연세대 나태준(행정학) 교수와 시정연 송석휘 부연구위원이 각각 ‘청계천 복원사업 갈등관리 사례분석’과 ‘버스 개혁과 갈등관리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주제발표를 했다.
특히 나 교수는 “서울시 내부에서조차 청계천 복원공사가 불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는 상황에서 반드시 실현한다는, 정책에 대한 신뢰를 심어줌으로써 외부로부터도 신뢰를 얻고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한 게 갈등관리 성공의 요인이었다.”고 풀이했다. 상인들이 집단으로 반발한 원인은 그동안 예견할 수 있는 정책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안감을 자아냈기 때문이라는 이 시장의 말과 상통하는 대목이다.
나 교수는 청계천 복원사업의 협상 준비단계에서 서울시가 펼친 전략을 5가지로 분류해 눈길을 모았다. 상가 및 상인과 대표자들의 현황을 파악하는 지피지기 전략,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파악해 온건파를 통해 강경파를 설득하는 이원화 전략, 결집력이 약하고 불이익을 감당하기 어려워하는 사람들을 공략하는 메인파트너 채택 전략, 부정적 입장보다는 왜 해야만 하는지 시민들에게 알리는 홍보전, 상대방의 입장을 최대한 들어줘 인간적인 신뢰를 형성하는 역지사지 전략이다.
나 교수는 청계천 공사에 대해 “무엇보다 사후대책에 대한 확신감을 심어 주고, 확실한 명분을 대다수 시민들에게 인식시키며, 투명한 의사수렴이 이뤄져야 공공사업이 원만하게 추진된다는 점을 시사하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