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들 장소에 설치된 대형 생수통(먹는 샘물)은 85%, 약수터는 100% 식수로 부적합한 것으로 판명됐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위원장 이훈구)는 지난 8월16일부터 9월20일까지 25개 자치구 1512곳, 시산하사업소 56곳, 공사 87곳에 설치된 정수기, 생수통, 약수터 등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들 공공기관에 설치된 정수기의 경우 496곳 가운데 282곳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전체의 57%에 달했다. 또 먹는 샘물(생수)은 486곳 가운데 85%에 달하는 415곳이 음용수로 부적합했다. 약수터는 조사대상 36곳 모두가 식수로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지역 1215개 초·중·고교에 설치된 1만 5174개의 정수기를 지난 15일 조사한 결과 이 가운데 531개의 정수기에서 일반세균, 대장균 등이 검출됐다. 또 12개의 정수기는 청소·소독후에도 수질이 개선되지 않아 폐쇄했다. 이들 부적합 정수기에서는 일반세균과 대장균이 다량 검출됐다.
환경수자원위원회 전대수 의원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정수기에서 일반세균이나 대장균이 검출되고 있는 것은 정수과정에서 잔류염소가 제거되는 데다 음용기간이 2∼3일이나 되는데 비해 위생관리는 소홀히 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