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30.9%·사법부 24.6% ‘억대 재테크’
행정부 1급 이상 공무원의 82%가 지난해 재산이 늘었다. 국회의원은 73.4%, 사법부 고위 법관은 85%가 지난해보다 재산이 증가했다.특히 행정부의 23.2%, 국회의원의 30.9%, 사법부의 24.6%는 1억원 이상 재산이 늘었다.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양극화 분위기 속에서 고위공직자의 재산증식은 두드러졌다.
정부·입법부·사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8일 재산공개대상 고위공직자들의 지난 한해 동안 재산변동 내역을 관보에 공개했다.
행정부는 1급 이상 공직자 643명 가운데 81.8%인 526명이 재산이 늘었다.150명은 1억원 이상 증가했다.12명은 5억원 이상 늘어났다.
가장 많이 증가한 사람은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으로, 주식 매각에 따라 40억원이 늘었다.
재산이 가장 많은 사람은 기획예산처 신철식 정책홍보관리실장으로 186억 1721만원이다.
2위가 165억 7814만원을 등록한 진 장관이다. 행정부 1급 이상의 50.5%인 326명은 서울 강남에 부동산을 갖고 있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9447만원이 늘었다. 오영교 행정자치부 장관은 1억 6399만원이 증가했는데,1억 3600만원은 코트라 사장 때 인센티브로 받은 것이라고 신고했다.
반면 행정부 재산공개대상의 18.2%인 117명은 재산이 줄었다.27명은 1억원 이상 감소했다. 가장 많이 줄어든 사람은 이철 한국철도공사 사장으로 45억원이다.
행자부가 분석한 결과 고위공무원의 재산이 늘어난 이유는 급여 저축과 주식 매매 및 상장 차익, 부동산 매매 차익 등이었다. 반면 감소한 이유로는 자녀 결혼과 교육비, 부동산의 매입가격과 신고가격의 차이 등을 꼽았다.
294명의 국회의원 가운데 73.4%인 216명이 지난해보다 재산이 늘었다.91명은 1억원 이상 증가했다. 반면 25.8%인 76명은 줄었다.
1억원 이상 줄어든 의원은 14명이다.2명은 변동이 없다고 신고했다.
2005년 신고 때는 증가가 68.4%인 201명, 감소가 31.3%인 92명이었다. 재산을 불린 사람이 크게 늘어난 셈이다.10억원 이상 증가한 의원도 11명이나 됐다.
특히 주식백지신탁제도 시행에 앞서 주식을 대거 처분한 한나라당 김양수 의원이 82억 6300만원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이어 무소속 정몽준 의원이 36억원 증가했다.
재산 총액은 정몽준 의원이 2648억원으로, 이날 재산이 공개된 고위공직자 가운데 가장 많았다.
대법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 등 사법부 고위 법관 137명 가운데 117명은 재산이 늘었고,19명은 줄었다.1명은 변동이 없었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
|
|
|
2006-3-1 0:0: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