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정부별 국무총리 및 장관 임면횟수를 분석한 결과, 박정희 대통령 집권기인 1963년부터 5공화국 출범 전인 1980년까지 17년동안 재임한 국무총리는 모두 7명. 평균 2년 4개월동안 재임한 셈이다.
반면 전두환 대통령 집권기인 1980년 8월27일부터 1988년 2월24일까지는 7명의 총리가 임명돼 평균 재임기간은 1년1개월로 크게 줄었다. 박정희 정부 시절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이후 정부에서도 평균 총리 재임기간이 1년 안팎에 그쳤다. 노태우 정부 5년동안 5명의 총리가 임명됐고,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에선 각각 6명이 거쳐갔다. 참여정부도 한명숙 총리가 세번째다.
부처별로는 건설교통부의 장관 임면 횟수가 단연 많아 눈길을 끌었다. 박정희 정부땐 23명이 평균 9개월가량 재임했다. 전두환 정부 8년동안에도 10명이 교체됐고, 노태우 정부 5년동안에는 10명이 교체돼 평균 재직기간은 6개월에 불과했다.
김영삼 정부에서는 8차례, 김대중 정부때도 7차례나 바뀌었다.1960년대 이후 국토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졌지만, 지나치게 잦은 교체로 일관성 있는 개발이 이뤄졌는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정치적인 바람을 많이 타는 행정자치부(옛 내무부)도 비교적 교체가 잦았다. 박정희 정부 시절 12차례, 전두환 정부 시절 9차례 교체됐다. 노태우 정부와 김영삼 정부에서도 각각 7차례 바뀌어 평균 1년을 넘기지 못했다. 김대중 정부 시절은 그래도 4명이 재임해 가장 긴 편이었다.
노태우 정부 이전까지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는 비교적 ‘롱런’하는 부처였지만 김영삼 정부 이후 교체가 잦았다. 사회가 전반적으로 민주화되면서 바람을 많이 탄 것이다. 교육부 수장은 김영삼 정부에서 5차례, 김대중 정부에서 7차례, 노무현 정부 들어 벌써 5차례 교체됐다. 반면 전두환 정부 8년동안에는 3차례, 노태우 정부 시절엔 4차례만 바뀌었다.
보건복지부 장관 역시 전두환 정부 시절 3차례, 노태우 정부 시절 5차례 바뀌었다. 하지만 김영삼 정부에서 8차례, 김대중 정부에서 7차례 등 민주화시대에 교체가 잦았다. 이밖에 국민의 정부에선 법무부 장관이 8차례 교체되어 가장 빈번했고, 참여정부에선 교육부와 해양수산부가 각각 5차례로 가장 많았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