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헬기에 비해 25배 적은 돈이 드는 이동식 펌프장비를 도입해 헬기를 능가하는 진화 효과를 거둔다는 것이다. 자치단체와 소방서의 ‘협력 행정’의 모범 사례이다.
●이동식 중계펌프를 아시나요
13일 오전 서울 강북구 우이동 북한산국립공원의 소귀천 매표소∼대동문 등산로에서 특수장비를 이용한 산불진화 훈련이 선보였다. 특수장비란 소방차의 물이 높은 산까지 오르지 못하는 점을 극복하기 위해 소방호스가 지나는 중간중간에 설치한 ‘이동식 중계펌프’를 말한다.
이날 시범훈련은 대동문 근처 등산로에 산불이 발생한 상황을 가정했다. 출동한 소방차는 접근가능한 마지막 지점인 소귀천 매표소에서 멈췄다. 소방대원이 소방차 호스가 연결된 중계펌프를 등에 짊어지고 산 위로 뛰었다.
산 중턱에 중계펌프를 고정시키고 또 다른 분출구에 소방호스를 연결했다. 소방차에서 출발한 소화수는 산 중턱에 이르자 수압이 떨어졌다. 그러나 곧 중계펌프를 통해 다시 상승압력을 받으면서 두번째 호스를 통해 산불이 난 지점에 힘차게 뿌려졌다.
매표소에서 대동문까지 거리는 2.2㎞. 수직 높이는 430m로 소방차와 직접 연결된 호스로는 소화수를 중간쯤 밖에 뿌릴 수 없다. 이 때 필요한 장비가 중계펌프. 훈련에 동원된 펌프 1대는 민간소방업체로부터 빌린 소형 펌프이다. 최신식 대용량의 중계펌프가 2대 이상만 있으면 밤에도 대동문까지 산불 진화가 가능하다.
●장비구입은 자치구 예산으로
지난 4월 28일 밤 대동문 근처 등산로에서 방화로 보이는 산불이 발생했다. 소방대원들은 소방차를 소귀천 매표소에 세워놓고 물을 뿌리다 아무런 소용이 없자 삽 등을 들고 나섰다. 다행히 바람이 불지 않아 불은 5시간여 만에 6000여평을 태우고 꺼졌다. 올해 북한산에서 발생한 10차례 산불에 속수무책이었다.
도봉소방서는 연구 끝에 캐나다 산림지 등에서 활용되는 중계펌프 진화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1억 5000여만원을 들여 소방차의 수압을 높이고, 제반 장비를 보수했다. 산불 전용 중계펌프의 도입 비용(5500만원)은 삼각산을 관내에 둔 강북구와 도봉산을 가꾸는 도봉구가 부담하도록 했다. 지역의 산림 관리는 소방서가 아니라 자치단체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강북구 등은 내년도 예산편성에 이를 반영했다. 총 2억원으로 50억원짜리 소방헬기 1대를 운용하는 효과 이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소방서측의 제안을 흔쾌히 받아들였다. 김현풍 강북구청장은 지난 4일 구를 방문한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이 같은 사실을 보고하고 지원을 요청했다.
강북구 관계자는 “열악한 조건 속에서 묵묵히 직무를 다 하는 소방대원들에 비하면 구가 장비예산을 편성하는 일은 최소한의 도리”라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6-12-14 0:0:0 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