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모두 세월 따라 흔적도 없이 변해갔지만. 덕수궁 돌담길엔 아직 남아 있어요, 다정히 걸어가는 연인들’(노래 ‘광화문 연가’ 중)
덕수궁 돌담길은 연인뿐 아니라 직장인의 사랑도 한 몸에 받고 있다. 점심시간에 자판기 커피를 마시며 돌담길을 걷노라면 피로가 눈 녹듯이 사라진다. 강남 직장인이 광화문 직장인을 시샘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돌담길을 걷다 보면 보도블록 사이로 하얀색 그림판을 만날 수 있다. 타일로 제작한 길바닥 그림이다.15×15㎝의 흰색 타일 9개를 붙여 만들었다. 어떤 것은 2개 붙인 것도 있다. 대리석을 액자처럼 테두리에 둘렀다.
바닥 그림은 덕수궁 주변의 역사와 자연을 품고 있다. 가운데 타일 그림은 서울 옛 지도다. 주위에는 광화문 주변 건물이 그려져 있다. 덕수궁과 서울역, 시청 그리고 교회가 보인다. 돌담길에 노란 낙엽이 떨어지는 모습도 앙증맞게 담겨 있다. 그림의 돌담을 손으로 만져보면 오톨도톨하다. 어린아이의 작품처럼 순박하지만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보고 있노라면 웃음이 절로 난다.
길바닥 그림은 징검다리처럼 놓여 있다. 같은 타일을 사용했지만 각기 다른 느낌이다. 중앙에 놓은 서울 지도를 제외하고는 각 타일의 위치를 바꾸어 놓았다. 그림의 방향도 각기 다르다. 어떤 것은 서울광장쪽을, 다른 것은 정동쪽을 바라본다. 그래서 지루하지 않다. 세월의 흔적도 고스란히 남았다. 깨어지기도 하고, 그림이 닳아 없어지기도 했다.
아트컨설팅서울 박삼철 소장은 “길 위의 예술은 어디에서 왔고,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는지를 고민하는 아름다운 철학”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작품의 창작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제목도 모른다.1998년 서울시가 정동길을 걷고 싶은 거리로 조성하면서 어느 공무원이 길바닥에 그림을 심었단다. 이 사업을 맡았던 서울시 푸른도시국 녹지사업단에 문의했지만 모른다고 했다. 아름다운 작품의 기록이 없어 안타까울 뿐이다. 이 작품은 예술가만 예술작품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도시를 내집처럼 아름답게 만들려는 마음, 그래서 더불어 행복해지고 싶은 마음이 진정한 예술품을 탄생시킨다. 이 길바닥 벽화가 수억원짜리 작품보다 값진 이유다.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덕수궁 돌담길은 연인뿐 아니라 직장인의 사랑도 한 몸에 받고 있다. 점심시간에 자판기 커피를 마시며 돌담길을 걷노라면 피로가 눈 녹듯이 사라진다. 강남 직장인이 광화문 직장인을 시샘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돌담길을 걷다 보면 보도블록 사이로 하얀색 그림판을 만날 수 있다. 타일로 제작한 길바닥 그림이다.15×15㎝의 흰색 타일 9개를 붙여 만들었다. 어떤 것은 2개 붙인 것도 있다. 대리석을 액자처럼 테두리에 둘렀다.
바닥 그림은 덕수궁 주변의 역사와 자연을 품고 있다. 가운데 타일 그림은 서울 옛 지도다. 주위에는 광화문 주변 건물이 그려져 있다. 덕수궁과 서울역, 시청 그리고 교회가 보인다. 돌담길에 노란 낙엽이 떨어지는 모습도 앙증맞게 담겨 있다. 그림의 돌담을 손으로 만져보면 오톨도톨하다. 어린아이의 작품처럼 순박하지만 사실적으로 묘사했다. 보고 있노라면 웃음이 절로 난다.
길바닥 그림은 징검다리처럼 놓여 있다. 같은 타일을 사용했지만 각기 다른 느낌이다. 중앙에 놓은 서울 지도를 제외하고는 각 타일의 위치를 바꾸어 놓았다. 그림의 방향도 각기 다르다. 어떤 것은 서울광장쪽을, 다른 것은 정동쪽을 바라본다. 그래서 지루하지 않다. 세월의 흔적도 고스란히 남았다. 깨어지기도 하고, 그림이 닳아 없어지기도 했다.
아트컨설팅서울 박삼철 소장은 “길 위의 예술은 어디에서 왔고,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는지를 고민하는 아름다운 철학”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작품의 창작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제목도 모른다.1998년 서울시가 정동길을 걷고 싶은 거리로 조성하면서 어느 공무원이 길바닥에 그림을 심었단다. 이 사업을 맡았던 서울시 푸른도시국 녹지사업단에 문의했지만 모른다고 했다. 아름다운 작품의 기록이 없어 안타까울 뿐이다. 이 작품은 예술가만 예술작품을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도시를 내집처럼 아름답게 만들려는 마음, 그래서 더불어 행복해지고 싶은 마음이 진정한 예술품을 탄생시킨다. 이 길바닥 벽화가 수억원짜리 작품보다 값진 이유다.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2007-1-31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