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순환로 지리적 중심축 역할
4일 봉천동 남부순환로변을 찾은 김 구청장은 “올해는 관악의 100년 살림살이를 지탱할 도시계획의 밑그림을 그리는 데 주력할 것”이라면서 “공간적 중심축이 남부순환로”라고 포부를 밝혔다.
그가 남부순환로변에 주목한 것은 뛰어난 접근성 때문이다.
신림·서울대입구역 등을 통해 지하철 2호선과 연결될 뿐 아니라, 강남·서초구에서 금천·구로구를 관통해 양천·강서구로 이어지는 8차선 도로망 덕에 서울의 동·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
2012년 개통되는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와도 승용차로 3분이면 연결돼 김포·인천공항은 물론 수도권 주요 고속도로에 30분이면 닿을 수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도시가 균형있게 성장하려면 교육·서비스 부문뿐 아니라 이른바 ‘돈 쓰는 사업장’을 유치해야 합니다.”
●5년 뒤 생산·소비 순환시스템 구축
김 구청장의 구상은 신림역에서 낙성대역으로 이어지는 남부순환로 양편의 용적률과 층고를 상향조정해 상업·업무·금융·서비스 시설을 고루 갖춘 특별지구로 디자인한다는 것. 일종의 ‘선형도시’ 프로젝트다.
“4∼5년 뒤면 관악의 동서축 스카이라인이 획기적으로 바뀌어 있을 것입니다. 도로변에는 60∼70m 높이의 업무빌딩이 들어서고, 뒤편에는 문화·서비스·주거 시설이 자연스럽게 자리잡아 생산·소비의 효율적인 순환시스템이 구축되는 셈이지요.”
관악구는 지난해 신림역에서 서울대입구역에 이르는 2.2㎞ 구간에 대해 서울시로부터 재정비 승인을 받았다.
올해는 신림역∼난곡4거리, 서울대입구역∼낙성대역 3.5㎞ 구간에 대해 재정비 및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연말까지 시의 최종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김 구청장은 “시설 인프라 못지않게 중요한 게 기업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라면서 “지방세 감면은 물론 중앙정부로부터 벤처특별지구나 교육연구지구로 지정받아 기업들에 각종 지원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동서 업무축·남북 교육축 시너지 기대
김 구청장의 구상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요즘 그는 남부순환로상의 ‘동서 업무축’을 낙성대 입구에서 서울대 후문에 이르는 ‘남북 교육축’과 유기적으로 결합시킬 방안을 찾는 일로 분주하다. 일종의 ‘트윈(twin) 밸리’구상이다.
김 구청장은 “남북의 ‘에듀-밸리’와 동서 ‘벤처·금융 밸리’가 기능적·지리적으로 융합한다면 최상의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면서 “서울대와의 새로운 관·학 협력모델 구축과 영어마을 유치 등으로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2008-2-5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