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1월 한 달간 공중이용시설 50곳의 실내공기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17곳(34%)에서 유해·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와 이산화탄소가 초과 검출됐기 때문이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사무실과 근린시설이 함께 입주한 복합건축물의 경우 27곳 가운데 5곳에서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4곳에선 이산화탄소가 기준치보다 높게 검출됐다.
사무용 업무시설 21곳 중에서는 각각 4곳과 3곳에서 기준 농도보다 높은 포름알데히드와 이산화탄소가 측정됐다.
특히 서울 중심가에 위치한 A빌딩의 경우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기준치의 2.5배가 넘는 300㎍/㎥이나 검출됐다. 포름알데히드는 건축자재나 내장 접착제 등에서 발생하는데, 국제 암연구센터에 의해 ‘발암 우려 물질’로 분류돼 있으며 피부를 자극해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산화탄소도 공기 중 농도가 4%를 넘어서면 졸음과 두통, 호흡곤란, 안면홍조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대표적 대기오염 지표물질이다.
시 관계자는 “추운 날씨 탓에 환기를 자주 하지 않아 공기질 부적합 판정률이 34%나 됐다.”면서 “4∼10월 조사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입주한 지 얼마 안 된 빌딩의 경우 자동환기 시스템을 갖춰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았지만, 내장재나 가구 등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 수치가 높았다.”고 덧붙였다. 몇 해 전까지도 대표적 오염물질로 꼽혔던 일산화탄소는 실내금연이 확산된 덕에 기준치를 넘긴 곳이 없었다.
시 보건당국은 겨울철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2∼3시간 주기 1분 이상 환기 ▲실내기온 18∼20℃, 습도 40% 유지 ▲유해물질 흡착식물(벤저민·고무나무 등) 활용 등을 제안했다.
시는 지난해 공중이용시설 650곳에 대해서만 실시했던 실내공기질 측정을 올해는 전체 공중이용시설의 20%인 1300곳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지난해 높은 오염도를 보였던 학원과 예식장, 공연장 등 3종시설을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2008-2-16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