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5월로 예정된 하수도 요금 20.5% 인상 계획이 유보되는 등 시내버스와 지하철, 택시 등 대중교통 요금과 각종 시설 입장료, 고교 납입료도 당분간 동결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직·간접적으로 관리하는 10개 공공요금은 경영합리화 등으로 최대한 자체 흡수하고 불가피한 경우 전반적인 물가 변동여건을 살펴 인상시기와 폭을 조정할 방침이다.
라면·밀가루·식용유·쌀 등 7개 중점 감시품목에 대해서는 8개 소비자단체와 합동으로 집중 감시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들 7개 품목은 국제적인 상승요인 외에도 사재기, 매점매석 등이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3일 소비자단체 주관으로 생산·유통업체와 합동 회의를 열어 가격인상 자제를 요청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외식비와 이·미용료, 목욕료, 숙박비, 영화관람료 등 개인 서비스 요금에 대해서는 업종단체와 간담회를 열어 가격 안정 협조를 요청하는 한편,15만여개 업소에 모니터 요원을 배치, 주기적인 가격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