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들과 ‘식탁안전’ 소통
18일 봉천동 원당시장은 종일 굵은 장맛비가 내렸다. 상인들의 표정은 대기를 짓누르는 잿빛의 구름층만큼 탁하고 무거웠다. 어디를 가나 “어렵다.”는 하소연이었다.“IMF 위기도 극복한 대한민국 아닙니까. 잘 될 겁니다.” 애써 미소를 지어가며 상인들을 위로했지만 김효겸 관악구청장 역시 얼굴에 드리운 수심의 그림자를 지워 내긴 어려워 보였다. 목줄기를 타고 내린 굵은 땀방울이 구청장의 하늘색 점퍼 깃을 짙게 물들였다.●“시장·중소기업등 민생현장 방문 늘릴것”
김 구청장의 시장 방문은 미국산 쇠고기 파동으로 가중되고 있는 서민들의 먹거리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현장지도 차원에서 마련됐다.
고물가와 경기침체의 이중고에 시달리는 재래시장이 사는 길은 서비스를 개선하고 유통질서를 확립해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방법뿐이라는 판단에서다.
김 구청장은 “경제가 어렵고 삶이 고단한 때일수록 자치단체장은 현장에 내려가 주민의 생생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면서 “재래시장과 음식점, 중소기업 등 민생 현장 방문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방문한 원당·신림1동 시장의 점포 대부분은 원산지 표시제를 잘 준수하고 있었다.
신림1동 시장에서 정육점을 운영하는 이남훈(40)씨는 “재래시장을 이용하는 서민들 형편에 고가의 국산육을 구입하기는 어렵다.”면서 “웬만해선 국산·수입산 식별이 어려운 양념육까지도 원산지 표시를 철저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병호(55) 상인번영회장은 “재래시장 특성상 소비자들은 몰라도 주변 상인들의 눈을 속이기란 불가능하다.”면서 “원산지를 속여 파는 점포가 있다면 상인회가 앞장서 시장에서 퇴출시킬 것”이라고 공언했다.
●상인 등과 ‘안전먹거리 협약’추진
먹거리 안전을 위한 주민협약을 맺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투명한 유통질서를 확립하기 위해선 단속과 계도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문병록 생활경제과장은 “법적인 강제보다 힘을 발휘하는 것이 경제 주체들의 자발적 의지”라면서 “구청과 상인·소비자단체가 3자 협약 형태의 결의문을 채택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구청장 일행이 점포를 순회하는 동안 주민들의 즉석 민원이 이어졌다. 민원의 내용도 “우범지대가 된 동네 놀이터에 가로등을 설치해 달라.”거나 “시장 아케이드 천장에 선풍기를 달아 주면 좋겠다.”는 등 다양했다. 한 70대 노인은 “아들이 대학을 나와 집에서 놀고 있다.”면서 “구청 미화원 자리라도 알아봐 달라.”며 구청장의 옷자락을 막무가내로 붙들기도 했다.
주부 천미영(39·봉천11동)씨는 “정치인들이 입만 열면 얘기하는 ‘소통’이란 게 별거냐.”면서 “선거철도 아닌데 재래시장을 돌면서 주민 목소리를 경청하는 모습이 참신하고 보기 좋다.”고 말했다.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2008-6-20 0:0: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